안녕하세요 특목고 다니는 고3입니다.최근에 돈을 모으고싶은 생각이 들어서 카뱅에 자유적금을 만들엇습니다. 처음이라 부담이 없게 하루에 3000원씩 넣고잇고, 알바비 13를 벌 때 3만원씩 넣고 잇는데 뭔가 이걸로 돈이 모일까?하는 생각이 들고 적은 돈이라고 생각하니까 좀 기운도 빠지고 합니다. 제가 특목고다 보니까 취업이 돼서 내년부터 회사를 다니기 때문에 청년도약,청약통장 또 기회가 되면 isa계좌도 만들 생각입니다. 근데 지금 제가 고민인 것은 지금부터 저금을 하는 습관을 들여야 성인이 되어서도 하겟다는 생각이 들어서 하고 잇기는 한데 너무 적은 거 같아서 고민이 되어 조언을 구하고 잇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금처럼 어릴 때부터 돈을 모으고, 경제 습관을 잡는 것은 정말 훌륭한 선택입니다. 금액이 작다고 해서 의미가 없는 게 절대 아닙니다. 아래에 당신에게 맞는 현실적인 재테크 루틴과 동기 유지법을 제안드릴게요.
✅ 지금 모으는 3,000원, 왜 의미 있나요?
습관이 자산이다: 성인이 된 후 수입이 아무리 많아도, 지출 습관이 없으면 절대 못 모읍니다.
자율성과 주도성: 자유적금, 일정 금액 저축 → 재테크 ‘근육’이 생기는 중입니다.
복리의 시작: 하루 3,000원씩이면 1년이면 100만 원 가까이 됩니다. 적금 이자까지 더하면 의미는 훨씬 커집니다.
구체적인 ‘저축 플랜’ 추천
내년부터의 전략
동기 유지하는 꿀팁
1년 후 예상 잔액을 시각화
하루 3,000원 × 365일 = 1,095,000원
적금 이자 약 2~3만 원 = 총 약 110만 원
→ "내년 이맘때, 나는 백만장자다!"
나만의 소비룰 만들기
“만원 이상 쓸 땐 한 번 더 생각하기”
“내가 만족한 소비만 기록하기”
SNS/앱 활용
카카오뱅크/토스 자동저축 기능
‘뱅크샐러드’, ‘브로콜리’ 앱 등으로 지출 시각화
✨마무리 조언
지금 당신은 이미 재테크의 가장 어려운 첫 단추를 꿰고 있습니다.
금액이 적더라도, 지금 시작했기에 미래의 자산은 분명 커질 겁니다.
1만 원을 아낄 수 있는 사람만이 100만 원도 굴릴 수 있어요.
필요하면 성인 이후 적금 vs 투자 전략, 월급 분배법도 도와드릴게요! 언제든 질문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