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넷 등기소(IRIS) 사이트 이용
접속 주소: http://www.iros.go.kr/
방법:
사이트 접속 후 메인 화면에서 ‘법인등기’ 또는 ‘법인 열람·발급’ 메뉴 클릭
‘상호 검색’을 통해 원하는 회사명 입력
검색 결과에서 해당 법인 선택
‘간략한 정보 열람’(유료, 저렴한 요금) 또는 ‘등기부 등본’(상세, 비용 높음) 선택
간략한 정보 열람 시, 자본금 항목이 표시되는 경우가 많음
장점:
방문 없이 온라인으로 신속하게 확인 가능
검색만으로 여러 회사의 간략 정보(자본금 포함) 확인 가능
2. 상장사 및 공시자료 활용
상장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상장사 자본금 등 주요 재무정보 확인 가능
비상장사: DART에서는 확인 불가
비상장사 자본금: 등기부등본 외에는 공식적으로 자본금 정보가 공개되는 경우가 드묾
3. 기업정보 서비스(유료/무료) 활용
무료 서비스:
일부 기업정보 사이트(예: 알바몬, 잡코리아, 크레딧잡 등)에서 기업 기본 정보(자본금 포함)를 제공하는 경우 있음
단, 정확성이나 최신성 보장 어려움
유료 서비스:
전자신문, 크레딧뷰, NICE평가정보 등에서 기업 신용정보 조회 시 자본금 확인 가능
대량 조회 시 비용 부담 있음
4. 자본금 조회 전용 서비스(예: ZUZU 등)
ZUZU(주주):
주주관리 서비스이지만, 일부 기업의 자본금 정보를 제공
직접 입력된 정보가 있어야 자본금 확인 가능(모든 회사 정보가 있는 것은 아님)
한계:
모든 주식회사의 자본금 정보가 실시간, 대량으로 제공되지는 않음
요약 및 권장 방법
최소한의 비용과 번거로움으로 자본금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인터넷 등기소(IRIS) 사이트의 ‘간략 정보 열람’(유료, 저렴)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신속하고 공식적인 방법입니다.
50개 이상의 회사 정보를 대량으로 조회해야 한다면,
유료 기업정보 서비스(전자신문, 크레딧뷰 등)에서 엑셀 다운로드 또는 API 연동을 통해 자본금 정보를 일괄 확인하는 방법도 있으나, 비용이 발생합니다.
상장사는 DART에서 무료로 확인 가능합니다.
인터넷 등기소(IRIS) 사이트의 간략 정보 열람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비용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면서 주식회사 자본금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상장사는 DART, 비상장사는 IRIS 간략정보 열람 또는 유료 기업정보 서비스 활용을 권장드립니다.
모든 회사의 자본금 정보를 무료로 대량 조회하는 방법은 현재 공식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