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수학교육과 졸업 후 “교육 쪽 + 고소득” 가능한 직업
직업명 | 설명 | 수입 수준 (대략) |
공립 중·고등학교 교사 | 임용고시 합격 후 정년 보장 | 연봉 3,000~5,000만 원 이상 (호봉 따라 증가) |
사립학교 교사 | 자체 채용, 일부는 고소득 가능 | 연봉 3,000~6,000만 원 (학교별 차 큼) |
입시 전문학원 강사/원장 | 고등 수학, N수생, SKY반 대상 강의 | 연봉 4,000~1억+ (실력+지역+인기 좌우) |
인터넷 강의 강사 (인강) | 메가스터디, 이투스, 대성 등 | 월수입 수백~수천만 원 가능 (상위권) |
출판사 교재 기획자/콘텐츠 개발자 | 교육 출판사 편집팀, 문제 출제 | 연봉 3,000~4,500만 원 (정규직 기준) |
에듀테크 콘텐츠 기획자 | 교육 플랫폼에서 수학 커리큘럼 기획 | 연봉 4,000~7,000만 원 (IT 기반 회사) |
수학 과외 전문 강사 | 프리랜서 과외, 소득 자율 | 수입: 본인 역량 따라 월 300~1000만 원+ |
요약:
공무원처럼 안정적을 원하면 → 공립 교사
수입과 성장 가능성을 원하면 → 사교육/에듀테크/과외 시장도 유망
✅ 2. 공립학교 교사 vs 사립학교 교사 차이점
항목 | 공립학교 교사 | 사립학교 교사 |
채용 방식 | 임용고시로 전국 선발 | 개별 학교별 채용 공고 |
안정성 | ★★★★★ (정년 보장) | ★★~★★★★ (학교 재정/재단에 따라) |
연봉/복지 | 국가 기준 + 정기승진 | 학교 재단에 따라 다름 (일부는 고소득) |
이동 가능성 | 전보/전근 가능 (시·도 간 이동 어려움) | 거의 없음 (학교 내 고정) |
업무 강도 | 행정+수업+잡무 많음 | 비슷하나 학교 재량이 큼 |
수업 자율성 | 국가 교육과정 중심 | 일부 자율성 보장 (선택 폭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