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국민임대주택 소득 및 자산 기준, 2025년 기준은? 2025년 기준으로 국민임대주택의 소득 및 자산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2025년 기준으로 국민임대주택의 소득 및 자산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전년도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가 기본 조건이라고 하던데, 1인 가구와 2인 가구는 가산 적용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자산 기준도 부동산과 자동차를 포함해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2025년 국민임대주택의 소득 및 자산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년 발표되는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며, 1인 가구 및 2인 가구에 대한 소득 기준 완화가 적용됩니다.

1.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국민임대주택의 기본적인 소득 기준은 전년도(2024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입니다. 다만, 1인 가구와 2인 가구는 가산(완화) 적용을 받습니다.

  • 일반적인 국민임대 소득 기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 1인 가구: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90% 이하 (70% 기준에서 20%p 가산)

  • 2인 가구: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80% 이하 (70% 기준에서 10%p 가산)

2025년 적용되는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 (예시)

정확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통계청 발표에 따르며, 일반적으로 다음 해 초에 확정 발표됩니다. 현재 시점(2025년 7월)에서 예상되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2025년 적용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70%

1인 가구 (90%)

2인 가구 (80%)

1인

2,518,715원

3,238,348원

-

2인

3,833,902원

-

4,381,602원

3인

5,338,881원

-

-

4인

6,004,662원

-

-

5인

6,321,734원

-

-

6인

6,813,160원

-

-

7인

7,304,587원

-

-

  • 참고: 위 표는 2025년 적용 기준이며, LH 등 공고문에 실제 적용될 소득 기준을 다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소수점 단위에서 반올림 등이 적용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소득은 세대구성원 전원의 소득을 합산하며, 국민건강보험 보수월액, 사업소득, 재산소득, 공적이전소득 등 모든 종류의 소득을 반영합니다.

2. 자산 기준 (2025년 기준)

국민임대주택의 자산 기준은 총자산자동차 가액으로 나뉩니다.

  • 총자산 기준:

  • 2025년 기준 약 3억 3,700만원 이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순자산 평균값을 기반으로 산정)

  • 총자산액은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일반자산(임차보증금 등)의 합계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 부동산: 토지 및 건축물 가액 (공시가격 또는 시가표준액 기준)

  • 자동차: 차량 기준가액 (차종별 차량기준가액에 따른다. 보통 보험개발원의 차량기준가액)

  • 금융자산: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보험 등

  • 기타자산: 전세금, 임차보증금 등

  • 부채: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금융기관 부채 및 임대보증금 등

  • 자동차 가액 기준:

  • 2025년 기준 약 3,803만원 이하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금액에 전년도 운송장비 소비자물가지수를 곱하여 산정)

  • 세대 내 모든 자동차의 가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중요 사항:

  • 무주택세대구성원: 국민임대주택에 신청하려면 세대 구성원 전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 세부 공고 확인: 위의 기준은 일반적인 국민임대주택의 기준이며, 실제 LH 또는 SH 등에서 발표하는 개별 모집 공고문에 따라 소득 및 자산 기준, 가점 기준 등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신청하시려는 공고문을 상세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과의 차이: 국민임대는 주로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하지만, 다른 공공임대 유형(예: 통합공공임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도 함께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예시): 1인 가구 약 239만원, 2인 가구 약 393만원, 3인 가구 약 502만원, 4인 가구 약 609만원 등.

국민임대주택은 소득과 자산 기준이 중요한 부분이므로, 신청 전에 마이홈포털(www.myhome.go.kr)이나 LH 청약센터 등 관련 기관 홈페이지에서 최신 공고문을 통해 정확한 기준을 다시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싸이트 방문하여 주세요 감사합니다

https://blog.naver.com/gangwongyu13

https://gangwongyu.blogspot.com

https://gangwon1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