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10억 이상 하는 아파트 매도 하면 세금이 거의 절반 가까이 내는 거 맞나요?? 그니깐 예를 들어 15억 아파트를 매도

가까이 내는 거 맞나요?? 그니깐 예를 들어 15억 아파트를 매도 하면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현금은 대충 9억 정도 인가요??그럼에도 부동산에 투자하는 이유가 안전자산+우상향이라는 점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15억짜리 아파트를 팔면 정말 절반 가까이 세금 내야 하는지 궁금하신 질문자님.

집을 팔 때 세금 문제는 단순한 수익 계산보다 훨씬 복잡하죠.

저도 처음엔 “이득 본 만큼 세금 내는 거 아냐?” 했다가, 실제 계산하고 충격받았던 기억이 있어서 이 질문 정말 공감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15억 아파트를 매도해도 ‘실제로 절반 이상 세금을 내는 경우는 드뭅니다’.

다만, 보유 기간·1주택 여부·취득가·양도차익 등에 따라 차이는 매우 큽니다.

1. 가정 예시로 계산해볼게요

조건:

  • 1주택자 (실거주 2년 이상)

  • 취득가 6억 / 매도가 15억

  • 보유기간 10년

양도차익: 15억 – 6억 = 9억

→ 장기보유특별공제(최대 40%) 적용 → 약 5.4억 과세표준

→ 양도세 + 지방소득세 합산 시 약 1.6억~1.8억 수준 납부 예상

즉, 실제 수령 금액은 약 13억 중반~14억 가까이 됩니다. (중개수수료, 필요경비 제외)

2. 그래도 부동산에 투자하는 이유는?

네, 정확히 말씀하신 것처럼:

  1. 우상향 가능성

  • 국내 부동산 시장은 단기 변동성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토지 희소성 + 수도권 집중으로 가격이 꾸준히 상승해왔습니다.

  1. 레버리지 효과

  • 예를 들어, 2억만 가지고도 대출과 전세를 활용해 10억짜리 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 구조라 수익률이 압도적입니다.

  1. 상대적 안전자산

  • 주식이나 가상자산보다 실물 가치가 뚜렷하고, 정책적으로도 정부가 쉽게 무너뜨릴 수 없는 자산군입니다.

요약

  • 1주택 실거주자는 절반 가까이 세금 내는 경우는 거의 없음 (보통 20~30% 이하)

  • 다주택자 or 단기보유자는 세금 폭탄 맞을 수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상향 + 안정성 + 레버리지 효과 때문에 투자 매력은 여전히 높습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채택하기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