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토스 자유적금 자동이체 만기 잘문있습니다 토스 1년이든 2년이든 자동이체 하고 만기까지 하면3프로 받는데요1년 먼저 하고

토스 1년이든 2년이든 자동이체 하고 만기까지 하면3프로 받는데요1년 먼저 하고 그 모은원금그대로 넣고 또 1년했을때 총 이자랑2년 걸어놓고 만기 후에 이자랑 같나요? 아니면 기간을 더 길게 잡은게 이자가 큰가요?꼭 토스 적금 아니더라도 다른 은행에서 요렇게 차이두면총 이자가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네이버정식등록업체 지식iN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등

업계 1위 상담사 소라페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년짜리 적금을 두 번 연속(1년+1년) 하는 것과 2년짜리 적금을 한 번에 가입하는 것의 총 이자는 다릅니다.

이유

적금은 만기 때 이자가 원금에 더해져 복리처럼 다시 이자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1년 만기 후 받은 이자를 다시 1년 적금에 넣는다고 해도, 두 번째 적금은 '새로 시작하는 적금'이기 때문에, 첫 해 이자에 대해 이자가 붙지 않습니다.

반면, 2년짜리 적금은 2년간 계속 이자가 붙으므로, 전체적으로 이자 합계가 더 큽니다.

예시(연 3% 단리, 세전, 매달 10만 원씩 적립, 자유적립식 기준)

1. 1년 적금 2번

첫 1년간 적금: 매달 10만 원씩, 연 3% 이자

만기 후 원금+이자 합쳐서 다시 1년 적금(이때도 매달 10만 원씩 넣는 구조라면, 실제로는 복리 효과가 거의 없음)

각 1년 적금의 이자는 각각 계산되어 합산

2. 2년 적금 1번

매달 10만 원씩 2년간 적립, 연 3% 이자

2년 전체 기간 동안 이자가 붙으므로, 총 이자가 더 큼

실제 은행 상품 금리 구조

토스뱅크 자유적금 기준, 12~23개월, 24~35개월, 36개월 모두 **연 2.5~3%**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하지만, 2년짜리 적금은 이자가 2년 전체 기간 동안 불어나기 때문에, 이자 합계가 1년짜리 2번보다 약간 더 많음.

결론

2년 만기 적금이 1년 만기 적금 2번보다 총 이자가 더 많습니다.

이는 토스뱅크뿐 아니라 대부분의 은행 적금 상품에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참고

만약 매달 자동이체 등 우대조건을 꾸준히 충족한다면, 각 기간별 최고금리가 적용됩니다.

단, 만기 후 이자를 다시 넣는 방식이 아니라, 매달 일정액을 계속 저축하는 구조라면 2년짜리 적금의 이자가 더 큽니다.

요약:

기간을 길게(2년) 잡은 적금이 1년씩 두 번 하는 것보다 이자가 더 큽니다.

이는 토스 적금뿐 아니라 다른 은행 적금도 마찬가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