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재산세 납부 시 카드사별 캐시백 혜택 상세 내용은? 재산세 납부 시 카드사별로 제공하는 캐시백 혜택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재산세 납부 시 카드사별로 제공하는 캐시백 혜택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와 KB국민카드의 경우 각각 얼마의 비율로 캐시백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조건이나 주의사항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 부탁드립니다.

아래는 신한카드KB국민카드의 재산세(지방세) 납부 시 제공되는 캐시백 및 포인트 혜택과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조건 및 주의사항입니다.

1. 신한카드

  • 혜택

  • 신한 개인 체크카드로 지방세(재산세 포함) 납부 시 **전체 납부금액의 약 0.1~0.17%**를 현금 캐시백(또는 마이신한포인트)로 돌려줍니다.

  • 예: 캐시백 비율이 0.17%에 해당할 경우, 100만 원 납부 시 1,700원 돌려받음 (신한카드)

  • 2024년·2025년 7월 기준 캐시백률은 0.1% 수준입니다 .

  • 지급 기준

  • 캐시백이 1만 원 미만일 경우, 현금 대신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됩니다 (신한카드).

  • 주요 조건

  1. 체크카드여야 하며, 신용·법인·BC·선불·기프트 카드 제외

  2. 반드시 체크카드 결제 방식으로 납부 (인터넷지로, 위택스, ATM, ARS 등)

  3. 이벤트 기간 내에 납부해야 캐시백 대상

2. KB국민카드

  • 혜택

  • KB국민카드 체크카드로 지방세 납부 시 건당 일정 금액의 캐시백이 제공되며, 이벤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거 이벤트 기준:

  • 10만 원 이상 납부 → 5,000원 캐시백 (1회)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

  • 누적 금액별: 10만 → 5천원 / 50만 → 1만 원

  • 기타 혜택

  • KB Pay를 통한 납부 시: 서울시 지방세 30만 원 이상 → 500~3,500포인트 지급 이벤트 (네이트 뉴스).

  • 주요 조건

  1. 체크카드 대상 (기업체크·BC 제외)

  2. 이벤트 기간과 응모 필수

  3. 건당 또는 누적 조건 충족 시 1회 캐시백

3.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팁 & 주의사항

체크 포인트

설명

대상 카드

모두 체크카드만 가능. 신용카드나 법인카드는 제외됨

납부 방식 확인

반드시 카드 납부 선택 (계좌이체/현금 아닐 것)

이벤트 및 응모 여부 확인

신한은 자동, KB는 사전 응모 필수

금액 조건 기준 확인

신한은 비율(0.1~0.17%), KB는 최소 10만 원 이상 등

지급 시기 및 유의사항

지급일 및 포인트 온전한 수령을 위해 사전 설정 확인

⚠️ 소득공제는 제외

카드로 납부한 지방세 금액은 소득공제 대상 제외 (아직 주식은 죽지 않았다.,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

4. 사례 비교

  • 신한카드 체크로 200만 원 납부 시:

  • → 0.1~0.17% 수준 = 2,000원~3,400원 캐시백

  • KB국민 체크로 10만 원 납부 시:

  • → 5,000원 캐시백 (1회 한정, 최대 혜택)

소소한 절세 효과라도 챙기고 싶다면, 납부 전에 해당 카드의 이벤트 항목과 납부 방식 꼼꼼히 체크하는 게 중요합니다

✅ 정리

  1. 신한카드: 체크카드로 지방세 납부 시 0.1~0.17% 현금캐시백, 1만 원 이하 → 포인트

  2. KB국민카드: 이벤트 기간 중 체크카드 1회 10만 원 이상 납부 시 5천원~1만 원 캐시백

  3. : 체크카드, 납부 방식, 응모 여부, 최소 조건 등을 납부 전에 확인하세요!

세상에 흩어진 작은 씨앗을 모아 나누는 정보 소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