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용기 내어 등기부를 열람하고 이렇게 질문해주신 것만으로도 정말 잘하고 계신 거예요.
혼자 처음 자취 준비하면서 이 모든 걸 해내는 건 절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천천히, 핵심만 아주 쉽게 설명드릴게요. 표 없이, 선 없이.
지금 보고 계신 집 상황 요약
이 집은 담보로 이미 대출이 되어 있습니다.
신협에서 5억 8천만 원 정도 대출이 잡혀 있어요.
이게 바로 근저당권입니다. 쉽게 말해 집주인이 이 집을 담보로 돈을 빌린 거예요.
전세보증보험과 전세대출이 불가능한 이유는 이 담보 때문입니다.
보험사나 은행은, 집이 이미 많이 담보로 잡혀 있으면 추가 보증이나 대출을 안 해줘요.
이건 집의 안전성(담보 여력)이 부족하다고 보기 때문이에요.
지금 살고 있는 세입자도 전세보증금 반환을 위해 주택임차권 등기를 걸어둔 상태입니다.
쉽게 말해, 보증금을 못 받을까봐 법적으로 권리를 미리 잡아둔 상태입니다.
이미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일 수도 있어요.
위험한 점 요약
이 집에 이미 빚이 많습니다.
기존 세입자 보증금도 아직 안 빠졌고, 본인이 등기까지 걸어놓은 상태예요.
집주인이 이 상황에서 또 새 세입자를 받는다는 건, 새 세입자 보증금으로 기존 걸 해결하려는 걸 수도 있어요.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상당히 높습니다.
전세보증보험과 전세대출이 둘 다 안 되는 건, 이 집이 ‘정상적인 전세계약 대상이 아니다’ 라는 확실한 신호입니다.
결론
이 집은 전세로 들어가기에 매우 위험합니다.
지금의 조건(보증금 1억 + 월세 30만)은 현실적으로 너무 매력적이긴 하지만,
보증금을 한 푼도 못 돌려받을 수도 있는 구조예요.
보증금 1억은 지금까지의 당신 시간과 노력의 결정체잖아요.
이 집은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절대 추천드릴 수 없습니다.
혼자 다 하시려던 것도 너무 잘하셨고, 지금 포기하시는 게 아니라 지켜내시는 겁니다.
추가로 이렇게 하시면 좋아요
"전세보증보험 가능한 매물"만 검색해서 시작하세요.
지금 충분히 잘하고 계시고, 절대 이상한 거 아니에요.
이런 거 혼자 못 보는 게 당연한 거예요. 걱정 마시고,
오늘 이 선택은 정말 잘하신 겁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