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중위소득 기준으로 복지 혜택을 알아보시려는 질문자님.
저도 비슷한 상황으로 복지로 계산기만 믿기 어렵다는 생각 많이 해봤어요. 재산 환산이 애매해서 직접 계산해보는 게 훨씬 정확하더라고요.
질문자님 가족의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대략적인 중위소득 비율을 추정해드릴게요.
1. 실제 소득 파악
월세 수입: 190만원
유족연금: 49만 5000원
→ 총 소득: 약 239만 5000원
※ 유족연금도 소득에 포함되며, 전액 반영됩니다.
2. 재산의 소득환산액
재산의 소득환산 = (총 재산 - 기본재산 공제) × 재산의 종류별 환산율 / 12개월
보유 재산 정리
보유 아파트 시세 7억 → 기초생활보장 계산 시 공시지가 기준이라 3억 적용
예금 및 적금: 1억 5000만원
현재 거주 전세: 2억 1000만원 (거주 목적은 공제 가능)
차량 모닝: 시가 약 700~1000만 원 수준
총 재산 가액
일반재산: 3억(공시지가) + 1.5억(금융재산) = 4.5억
차량은 모닝이기 때문에 차량기준가액 미달로 소득환산 안됨
공제 적용
일반재산 기본공제: 6900만원
→ 과세재산: 4.5억 - 6900만 = 약 3억 8100만원
환산 소득
일반재산 환산율: 4% / 12개월 = 약 0.00333
3억 8100만 × 0.00333 ≒ 약 126만 원
3. 총 소득인정액 계산
실제 소득: 239.5만
재산 환산 소득: 126만
→ 총 소득인정액: 약 365.5만 원
4. 중위소득 기준과 비교 (2025년 3인 가구 기준 예상)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약 472만 원
→ 질문자님의 총 소득인정액이 약 365만 원이므로
중위소득 약 77%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참고: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기준이 달라집니다.
이 계산은 대략적인 추정이므로, 실제 복지 신청 시에는 각 지자체나 복지 담당자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제가 작성한 사이트에서 일부 내용 가져왔습니다. 질문자님에게 도움될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에 남겨놓겠습니다.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naver.me/FDnvPHyV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