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에 관심 갖게 되셨다니 반가워요
처음 접하면 용어나 구조가 너무 많아서 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천천히 하나씩 알아가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아래에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먼저 경기 주말 구성부터 설명드릴게요
프랙티스 (Practice)
연습 주행이에요.
FP1, FP2, FP3으로 총 3번 진행되고, 각 팀이 차 세팅이나 타이어 테스트 등을 해보는 시간이에요
타임을 기록하지만 결과는 본 경기와 무관해요
퀄리파잉 (Qualifying)
예선이에요.
레이스 출발 순서를 정하는 경기로, 보통 Q1, Q2, Q3 세 단계로 나뉘어요
매 단계마다 느린 순으로 탈락해서, 마지막 Q3에서는 가장 빠른 10명의 그리드가 정해집니다
스프린트 퀄리파잉 (Sprint Qualifying)
일부 경기 주말에만 있는 별도 예선 형식이에요
스프린트 경기를 위한 순위를 정하는 예선이에요
스프린트 (Sprint)
짧은 거리의 미니 레이스예요
보통 100km 거리로 진행되고, 상위 몇 명에게 소량의 포인트가 주어져요
정규 레이스 출발 순서에는 영향을 안 주는 경우도 있고, 주는 경우도 있어요 (해당 주말 포맷에 따라 달라요)
레이스 (Race)
일요일에 열리는 본 경기예요
포인트는 여기서 가장 많이 주고, 시즌 챔피언을 결정짓는 데 가장 중요해요
그리고 자주 나오는 용어들도 몇 가지 소개할게요
DRS (Drag Reduction System): 직선 구간에서 뒤차가 앞차를 추월하기 쉽게 날개를 열어주는 시스템
피트스탑 (Pit Stop): 타이어 교체나 간단한 수리를 위해 피트에 들어가는 것
언더컷 / 오버컷: 피트스탑 타이밍을 조절해 상대보다 유리하게 앞서는 전략
세이프티카 (Safety Car): 사고나 위험 시 차량 속도를 줄이기 위해 나오는 차량
폴 포지션 (Pole Position): 예선 1등, 즉 레이스 출발 1번 그리드
파워 유닛 (Power Unit): F1 차의 엔진 시스템을 통칭하는 말
타이어 컴파운드: 소프트, 미디엄, 하드 등 타이어의 종류로 경기 전략에 따라 선택해요
익숙해지면 하나하나 보는 재미가 커질 거예요
입문하셨으니 지금부터 정말 재밌어질 시점이에요
좋아하는 팀이나 드라이버 생기면 더 빠져들 수 있고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우측의 ⋮ 버튼을 눌러 포인트 선물로 마음을 전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부업, 재테크, 생활 속 꿀팁까지
직접 해보고 엄선한 정보들만 담았습니다
시간이 절대 아깝지 않을 거예요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