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식의 분자의 경우
b의 값에 따라 인수분해가 되기도 안 되기도 할 것입니다.
저런 경우는 b가 어떤 값이 오더라도 인수분해되는 형태로만 됩니다.
b가 뭔지 모르니까요
따라서 이런 경우는 오히려 쉽습니다.
b를 기준으로 묶습니다.
(2x제곱-2) + b(x+1)
이 때 양쪽의 공통인수가 있어야만 b가 어떤 값이 오더라도 인수분해됩니다.
※ b의 최대차수가 1차라 쉬운 것입니다. 2차면 난이도 차이가 있습니다.
보면 2(x-1)(x+1) + b(x+1)이므로 x+1로 묶을 수 있고
(x+1)(2x-2+b)로 인수분해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