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x)가 3차함수이고
3차항의 계수는 2
2차항의 계수도 2이며
f(0) = 0 임에 따라 상수항이 존재하지 않아서
정보가 없는 1차항의 계수를 미지수 'a' 로 두면
f(x) = 2x³+2x²+ax
와 같이 적을 수 있습니다.
f(0) = 0 이려면 상수가 뒤에 붙을 순 없습니다.
f(x)가 3차함수이다
→ f(x) = ( )x³+( )x²+( )x+( )
f(x)의 3차항의 계수가 2이다
→ f(x) = 2x³+( )x²+( )x+( )
f(x)의 2차항의 계수가 2이다
→ f(x) = 2x³+2x²+( )x+( )
f(0) = 0 이다
→ f(x) = 2x³+2x²+( )x+0
이후 정보가 없는 1차항의 계수를 미지수(a)로 두면
→ f(x) = 2x³+2x²+ax+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