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에서 적금을 들려고 하는데청년내일통장을 만들려다 올해 신청이 끝나 일단 지금 청년도약 아니면 청년처음으로 적금을 우선 들어두려 하는데요어떤게 더 혜택이 좋을지 판단해주시면 좋겠습니다.알바로 월 70정도 벌고있고 적금 든다면 월 30만원씩 넣을 거 같습니다궁금한 점으론 청년도약계좌 이자율이 3년까진 연4.5%이고 3년 이상부턴 우대금리가 더 붙는 거로 알고있는데 맞을까요?

질문자님, 정말 멋지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끝났다고 그냥 넘어가지 않고,

다른 청년전용 적금 상품을 알아보시는 자세가 너무 좋아요.

특히 월 70만 원의 소득 중 30만 원을 저축하시려는 계획은, 분명히 큰 자산으로 이어질 거예요.

지금 질문해주신 신한은행의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처음적금’을 비교해서 어떤 게 더 적합한지 알려드릴게요.

두 상품 차이

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처음적금

대상

전국 공통 청년정책상품 (정부 지원)

신한은행 자체 상품

납입 한도

월 최대 70만 원

월 최대 30만 원

납입 기간

5년

1~3년

금리 혜택

기본금리 + 정부지원금 + 이자소득 비과세

기본금리 + 우대금리

정부지원

있음 (연 최대 240만 원 혜택 가능)

없음

소득 요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제한 없음

중도해지 시

불이익 있음 (지원금 못 받음)

일반 적금처럼 일부 이자만 감면

질문자님 조건으로 보면...

  • 월 소득 70만 원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 월 납입 여유 자금: 30만 원 → 청년도약계좌 활용 시 아주 적합!

청년도약계좌: 질문하신 이자율 정확히 확인!

  • 기본 금리: 신한 기준 연 4.5% 내외 (고정금리)

  • 우대금리: 5년간 유지 시 추가 지급되는 형태는 아니고,

  • 정부에서 납입 금액에 따라 매년 지원금(최대 연 240만 원)이 따로 들어오는 구조예요.

따라서 “3년 후부터 우대금리가 붙는다”는 개념은 정확히 말하면: ‘금리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 납입 유지 시 정부 지원금이 누적돼서 수령액이 늘어나는 방식이에요.

3년 유지 기준으로는 일부만 정부 지원 가능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 일부 소멸)

어느 상품을 선택하면 좋을까?

질문자님은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훨씬 유리합니다.

이유는:월 30만 원이라도 꾸준히 넣으면 최대 1,440만 원 납입 + 정부지원금 최대 1,200만 원 추가 수령 가능

  1. - 기본금리도 4% 이상으로 꽤 높은 편

  2. - 소득 요건도 충족

다만, 5년이라는 긴 만기를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엔 단기 목돈 마련용으로 ‘청년처음적금’을 병행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추천 전략

  • 청년도약계좌 먼저 가입하고, 나머지 여유 자금은 일반 적금 활용

  • 혹시 중도 해지 가능성 있으면 금리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신한 '청년처음적금'으로 1~2년만 짧게 들어가는 것도 좋아요

정리하면 질문자님처럼 알바 소득이 있는 청년은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꼭 챙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단, 5년 유지가 어려울 것 같다면 무리하지 마시고 유연하게 전략을 짜보시는 게 좋아요.

앞으로도 재테크 잘 이어가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과 정부지원 계산 예시는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세요

image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필수 선택지, 청년도약계좌 분석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 이제 단순히 돈을 모으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정부의 지원까지 연계되는 정책형 자산형성 계좌를 통해 합리적인 저축과 세금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청년도약계좌란?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 + 비과세 + 자유적립식 구조로 설계된 청년 전용 적립식 금융상품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하며, 최대 5년간 유지할 경우 정부의 지원금까지 수령할 수 있어 실질 수익률이 매우 높습니다.무엇보다 이 상품은 단순한 예금이 아닌,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정부가 ...

passiveroa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