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정말 멋지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이 끝났다고 그냥 넘어가지 않고,
다른 청년전용 적금 상품을 알아보시는 자세가 너무 좋아요.
특히 월 70만 원의 소득 중 30만 원을 저축하시려는 계획은, 분명히 큰 자산으로 이어질 거예요.
지금 질문해주신 신한은행의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처음적금’을 비교해서 어떤 게 더 적합한지 알려드릴게요.
두 상품 차이
항목 | 청년도약계좌 | 청년처음적금 |
대상 | 전국 공통 청년정책상품 (정부 지원) | 신한은행 자체 상품 |
납입 한도 | 월 최대 70만 원 | 월 최대 30만 원 |
납입 기간 | 5년 | 1~3년 |
금리 혜택 | 기본금리 + 정부지원금 + 이자소득 비과세 |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정부지원 | 있음 (연 최대 240만 원 혜택 가능) | 없음 |
소득 요건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 제한 없음 |
중도해지 시 | 불이익 있음 (지원금 못 받음) | 일반 적금처럼 일부 이자만 감면 |
질문자님 조건으로 보면...
월 소득 70만 원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로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월 납입 여유 자금: 30만 원 → 청년도약계좌 활용 시 아주 적합!
청년도약계좌: 질문하신 이자율 정확히 확인!
기본 금리: 신한 기준 연 4.5% 내외 (고정금리)
우대금리: 5년간 유지 시 추가 지급되는 형태는 아니고,
정부에서 납입 금액에 따라 매년 지원금(최대 연 240만 원)이 따로 들어오는 구조예요.
따라서 “3년 후부터 우대금리가 붙는다”는 개념은 정확히 말하면: ‘금리가 올라가는 게 아니라’,
납입 유지 시 정부 지원금이 누적돼서 수령액이 늘어나는 방식이에요.
3년 유지 기준으로는 일부만 정부 지원 가능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 일부 소멸)
어느 상품을 선택하면 좋을까?
질문자님은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훨씬 유리합니다.
이유는:월 30만 원이라도 꾸준히 넣으면 최대 1,440만 원 납입 + 정부지원금 최대 1,200만 원 추가 수령 가능
- 기본금리도 4% 이상으로 꽤 높은 편
- 소득 요건도 충족
다만, 5년이라는 긴 만기를 감당하기 어려울 경우엔 단기 목돈 마련용으로 ‘청년처음적금’을 병행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추천 전략
청년도약계좌 먼저 가입하고, 나머지 여유 자금은 일반 적금 활용
혹시 중도 해지 가능성 있으면 금리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신한 '청년처음적금'으로 1~2년만 짧게 들어가는 것도 좋아요
정리하면 질문자님처럼 알바 소득이 있는 청년은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을 꼭 챙기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단, 5년 유지가 어려울 것 같다면 무리하지 마시고 유연하게 전략을 짜보시는 게 좋아요.
앞으로도 재테크 잘 이어가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과 정부지원 계산 예시는 아래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세요
청년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 ‘청년도약계좌’! 이제 단순히 돈을 모으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정부의 지원까지 연계되는 정책형 자산형성 계좌를 통해 합리적인 저축과 세금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청년도약계좌란?청년도약계좌는 정부기여금 + 비과세 + 자유적립식 구조로 설계된 청년 전용 적립식 금융상품입니다. 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하며, 최대 5년간 유지할 경우 정부의 지원금까지 수령할 수 있어 실질 수익률이 매우 높습니다.무엇보다 이 상품은 단순한 예금이 아닌,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정부가 ...
passiveroa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