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회사에서 사장에게 폭행을 당한 상황임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법률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어떤 증거와 절차를 준비해야 하는지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 1. 사장에게 폭행당한 경우 실질적 대응 절차
① 폭행의 경우 형사상 범죄가 성립하므로, 우선 경찰서에 고소장 제출이 필요합니다. 고소장에는 폭행 일시, 장소, 경위 그리고 피해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② 진단서 및 사진 등 증거 확보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다면 진단서를 반드시 발급받으시고, 상처부위나 찰과상의 사진, 현장 동영상, 목격자 진술 등 증거가 많을수록 실질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③ 만약 폭행이 직장에서 벌어졌다면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신청도 가능합니다. 사고보고서, 진단서, 목격자 진술 등을 준비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④ 폭행 사실을 이유로 직장 내 괴롭힘 진정을 노동청에 제기할 수 있습니다. 진정서 양식에 증거자료를 첨부하여 제출하고, 조사과정에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해야 합니다.
⑤ 손해배상청구 등 민사소송 절차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치료비, 위자료 산정을 위한 진단서·치료영수증도 포함하여 청구소장을 마련해야 합니다.
✔️ 2. 형사 고소 시 구체적 준비사항 정리
① 폭행 일지(정확한 시간, 장소, 가해자 이름 포함)를 빠짐없이 작성합니다. ② 상해 확인을 위한 병원 진단서 및 가능하다면 CCTV, 녹음파일 등 증거를 준비합니다. ③ 목격자 진술서(동료나 현장에 있었던 인물의 연락처 포함)를 확보합니다. ④ 경찰 조사 시 당황하지 말고 준비된 자료를 차분히 제출하여 핵심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손해배상 소송 및 산재 신청 서류 준비
① 치유 과정에서 지출된 병원비·영수증 원본, 진단서, 치료기록 등 금전적 손해 증빙서류, ② 추가 발생할 수 있는 정신적 고통에 대한 의료기록 및 상담내역, ③ 산재신청 시 근무일지 및 사고보고서를 별도로 준비해야 합니다.
절차 | 필요서류 | 주의사항 |
경찰 고소 | 고소장, 진단서, 사진, 목격자 진술 | 세부 사실 명확 기재 |
산재신청 | 사고보고서, 진단서, 현장사진 | 신속 접수 |
민사소송 | 치료비영수증, 진단서, 손해내역 | 금액 산정 철저 |
노동청진정 | 진정서, 근무기록, 이메일 캡처 | 사실관계 정확히 정리 |
목격자확보 | 진술서, 연락처 | 신뢰성 확보 |
증거수집 | CCTV, 녹음파일 | 불법녹음 주의 |
✔️ 4. 핵심 요약 정리
① 폭행 피해 시 가장 먼저 증거를 모으고, ② 경찰 고소와 함께 구체적인 진단서 등 객관적 자료를 준비하며, ③ 동시에 산재·민사 절차도 적극 검토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실질적 권리 보호의 시작임을 말씀드립니다.
✔️ 마무리하며...
폭행을 당하신 깊은 충격과 두려움, 말로 다 표현 못할 분노에 대해 마음 깊이 위로를 전합니다. 불공정한 현실에서도 반드시 법은 질문자님을 지켜줄 힘이 있습니다. 지치지 마시고, 차분히 준비하고 대응하신다면 분명 옳은 결과로 이어질 것임을 믿습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