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사기 살해협박 사진 유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연락하는사람이 방송을 한다면서 방송 보러오라해가지고 홈페이지 보내주면서 받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연락하는사람이 방송을 한다면서 방송 보러오라해가지고 홈페이지 보내주면서 받았는데 처음보는 홈페이지긴 했거든요 회원가입란에는 번호 아디 비번 추천코드 입력란이 있었고 캐쉬?같은걸 받아야 방송을 볼수있고 시청권이라는걸 사야하는데 충전하는식이길래 안본다니까 지가 보내주겠다면서 채팅방에서 보내줬는데 그래서 그거 받고 ㅂ방송 들어갔는데 더 보려면 캐쉬충전을 더 해야하는 식이였어요 그러다가 500을 보냈다면서 잘못 보냈다면서 현금화를 하라는거에요? 거기서 쎄해서 안보내려다가 제 얼굴 사진으로 ai해서 야동사이트에 뿌린대서 그러고 무슨 야동같은 사이트 보내더니 위치추적하겠다는둥 그러니까 현금화 서비스 신청하면서 입력란에 계좌번호랑 예금주만 적었거든요 이런사례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계좌번호 함부로 알려주면 나중에 보이스피싱범으로 몰리거나 할까봐 계좌 해지하고 다시 만들라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심각한문제 맞는거죠?

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현재 사기, 살해협박, 사진 유출과 관련된 피해를입으셨다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정신적 충격은 물론, 법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임을충분히 이해합니다.

✔️ 1. 사기, 살해협박, 사진 유출 — 각각의 범죄 구성과 처벌 기준

사기죄는 타인을 기망하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성립합니다. 형법 제347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살해협박은 살해 의사를 명확히 표현하며, 상대방이 현실적으로 공포심을 느끼는 경우 협박죄로 처벌할 수 있습니다. 이는 형법 제283조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합니다.

사진 유출은 개인정보 및 초상권 침해 뿐 아니라, 특히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사진일 경우 정보통신망법 제44조의7성폭력처벌법 위반 등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유포 자체가 엄중한 범죄이며, 별도의 민형사상 책임이 인정됩니다.

✔️ 2. 피해 사실을 입증하는 증거 준비 방법

사기 피해시에는 이체 내역, 계좌 정보, 문자·메신저 기록 등 자금의 흐름을 제시하는 자료가 중요합니다.

살해협박의 경우 실제 받은 협박 메시지, 통화 녹음, SNS 대화 이미지 등을 캡처-원본 보관 하셔야 합니다.

사진 유출은 실제 유포된 경로(메신저, 카페, 커뮤니티 등)와 최초 유포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스크린샷, URL, 해당 게시물 번호와 유통 시각 등을 상세히 남기셔야 합니다.

✔️ 3. 실질적인 법적 조치 — 경찰 신고와 고소 절차

① 모든 자료는 USB, 이메일, 출력문서 등 여러 방식으로 별도 보관해두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② 관할 경찰서에 사기·협박·사진유출 통합 고소장을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고소장에는 사건 경위, 피해 내용, 증거, 피의자 신상(가능시), 민형사상 손해를 구체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③ 상황에 따라 형사고소와 병행하여 손해배상(민사) 청구도 가능하나, 우선 형사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는 것이 실효적입니다.

④ 만약 유출된 사진이 명예 훼손, 모욕, 성적 수치심을 유발한다면 정보통신망법 및 성폭력처벌법 위반으로도 고소 가능하며, 삭제 요청도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구성요건

주요 증거

적용 법률

사기

계좌·내용증명·문자

형법 347조

살해협박

문자·녹취·SNS캡처

형법 283조

사진 유출

스크린샷·게시번호·URL

정보통신망법/성폭력처벌법

민사손해배상

피해액 산정자료

민법750조

삭제·차단요청

경찰 진술·동의서

정보통신망법

✔️ 4. 수사기관 조력과 보호조치 요청

① 고소 시 신변 안전조치를 반드시 요청하시고, 불안감이 크실 경우 즉시 피해자 보호 절차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② 원할 때 스마트워치 지급 요청, 접근금지 명령 등 추가 조치 요구도 가능합니다.

신상 노출, 2차 피해 방지를 위해 온라인 신고 기능 이용, 포털·SNS 게시물 삭제 요청 등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핵심 요약 정리① 사기, 살해협박, 사진 유출 사례는 모두 심각한 범죄입니다.② 구체적인 자료 및 증거를 준비하고 관할 경찰서에 신속하게 고소해야 실질적인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③ 신변안전·삭제·차단 등 추가 보호조치 요청이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많이 놀라고 불안하셨을 마음, 감히 다 헤아릴 순 없으나 법적으로 신속하고 철저하게 대응하신다면 반드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작은 용기가 상황을 바꿉니다. 반드시 회복의 시간이 오리라 믿습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