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글쎄, 연금을 펀드로만 운용해서 잘 몰라 질문인데요, 예를 들어, 주식이던 ETF던 연금계좌에서 한다고 하면,,, 음,, 주식은 못하려나,, 그럼 ETF에 투자한다 하면,,단순화 하려 1% 연배당 ETF라면,, 그리고 7/28이 배당락일 이에요, 7/27 기준 내 계좌에 해당 ETF가 100만원으로 찍혀 있다면7/28 내 계좌 ETF 가치 100만원의 1%인 1만원이 예수금으로 들어와 있고, 7/29 내 계좌 ETF 가치는 100만원에서 배당금 1%가 빠진 99만원이 되고, 그럼 계좌에서 내 ETF는 전일 대비 0%인가요, -1%인가요그러니까 7/29 기준 내 계좌에서는 아래 4가지 중 하나일텐데요,100만원에 전일 대비 0%, 100만원에 전일 대비 -1%,99만원에 전일 대비 0%, 99만원에 전일 대비 -1%당연히 순수하게 배당락의 효과만을 알고 싶은거에요, 뭐 가격이 올랐니 내렸니 그에 따라 가치가 바뀌니,, 그걸 몰라 물어보진 않을테니 나머지 부분은 모두 3일간 동일하다는 가정 되겠어요,  그리고 연금 내에서 이렇듯 배당을 받아 버리게 되면,,, 만약 TR이라면 아무 상관없겠지만,, 연금계좌에서 배당금을 받아 예수금이 생겨 버리면,, 연금에서 일반적으로 돈을 출금할 수 없는데,, 이런 자투리 금액들이 계속 남겨진 채 유지하는 거인가요,,이런 뭐 배당금으로 받은 몇천원, 몇만원을 내 일반계좌 CMA로 옮길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럼 그냥 연금계좌 내에서 다음 번 연금에 ETF 매수할 때까지 계속 그냥 자투리인건지,,이게 기간이 길어져 연금액이 커지면 분배금도 규모가 꽤 될터인데,, 1년에 한두번 매수할거면,,쓸데없이 큰 금액이 계속 자투리로 있을까봐 좀 예쁘게 어떻게 안되나 뭐 그런 생각이 드네요,,

주식투자해서 부자된 사람중에 그런거 신경 쓴 사람이 있을리가 없겠죠? 그런거 신경 쓸 시간에 좋은 상품을 찾고 돈을 어떻게 더 넣을까 고민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