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상황을 보니, 아기 돌보시느라 생활 패턴도 많이 바뀌셨고
정부기여금이 중단된 상태라 적금을 계속 유지할지 고민이 크실 것 같아요.
이런 경우엔 몇 가지 기준을 생각해 보시면 결정에 도움이 됩니다.
1) **현재 적금의 성격과 금리 확인**
- 정부기여금이 없는 상태라면, 사실상 ‘일반 적금’과 같은 구조가 됩니다.
- 금리가 높은 편인지, 시중은행 적금보다 유리한지 확인해 보세요.
- 만약 금리가 낮다면, 다른 금융상품(예금, 적금, CMA 등)으로 옮기는 것도 방법입니다.
2) **중도 해지 시 손익 계산**
-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받은 이자가 줄어들거나 일부 회수될 수 있습니다.
- 은행 또는 운영기관에 ‘중도 해지 시 실제 수령 금액’을 꼭 문의하세요.
3) **향후 정부기여금 재개 가능성**
- 소득 심사에서 ‘무소득’이라고 해도, 제도마다 기준이 달라서
재취업·소득 변동 시 다시 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년 남았다고 하셨으니, 그 기간 동안 소득 상황이 바뀔 수 있는지도 고려해 보세요.
4) **유지 vs 해지 판단 포인트**
- **유지 추천**: 금리가 높고, 목돈 만들기가 목적이며 당장 자금이 급하지 않은 경우
- **해지 추천**: 금리가 낮고, 정부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자금이 다른 데 필요하거나 더 나은 투자처가 있는 경우
**팁**: 지금 당장 큰 이자가 붙는 상품이 아니라면, 중도 해지 후 금리가 높은 다른 적금이나 예금으로 갈아타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한 번 깨면 다시 같은 조건으로 가입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해지 전 반드시 은행에 ‘중도 해지 시 실제 손해 금액’을 확인하세요.
아기 돌보면서 재정까지 챙기시느라 마음이 많이 무거우실 텐데,
이 시기에는 유동성을 확보하는 게 심리적으로도 훨씬 편안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