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청년도약계좌 유지할까요 깨버릴까요ㅜㅜ 제가 2023년 8월10일날 가입을했는데갑자기 아기를가져서 퇴직하고 소득이없어졌어요아직까지 아기돌보면서 전업주부하고있구요매년1년마다 심사를거치는데

제가 2023년 8월10일날 가입을했는데갑자기 아기를가져서 퇴직하고 소득이없어졌어요아직까지 아기돌보면서 전업주부하고있구요매년1년마다 심사를거치는데 소득없음으로 나와서 정부기여금은 못받구있어요이럴경우 그냥 적금을깨는게 좋을까요아니면 2028년까지 3년이남았는데 유지하는게 좋을까요??답변부탁드릴께요ㅜㅜ

질문자님 상황을 보니, 아기 돌보시느라 생활 패턴도 많이 바뀌셨고

정부기여금이 중단된 상태라 적금을 계속 유지할지 고민이 크실 것 같아요.

이런 경우엔 몇 가지 기준을 생각해 보시면 결정에 도움이 됩니다.

1) **현재 적금의 성격과 금리 확인**

- 정부기여금이 없는 상태라면, 사실상 ‘일반 적금’과 같은 구조가 됩니다.

- 금리가 높은 편인지, 시중은행 적금보다 유리한지 확인해 보세요.

- 만약 금리가 낮다면, 다른 금융상품(예금, 적금, CMA 등)으로 옮기는 것도 방법입니다.

2) **중도 해지 시 손익 계산**

- 중도 해지하면 그동안 받은 이자가 줄어들거나 일부 회수될 수 있습니다.

- 은행 또는 운영기관에 ‘중도 해지 시 실제 수령 금액’을 꼭 문의하세요.

3) **향후 정부기여금 재개 가능성**

- 소득 심사에서 ‘무소득’이라고 해도, 제도마다 기준이 달라서

재취업·소득 변동 시 다시 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년 남았다고 하셨으니, 그 기간 동안 소득 상황이 바뀔 수 있는지도 고려해 보세요.

4) **유지 vs 해지 판단 포인트**

- **유지 추천**: 금리가 높고, 목돈 만들기가 목적이며 당장 자금이 급하지 않은 경우

- **해지 추천**: 금리가 낮고, 정부지원이 재개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자금이 다른 데 필요하거나 더 나은 투자처가 있는 경우

**팁**: 지금 당장 큰 이자가 붙는 상품이 아니라면, 중도 해지 후 금리가 높은 다른 적금이나 예금으로 갈아타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다만, 한 번 깨면 다시 같은 조건으로 가입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해지 전 반드시 은행에 ‘중도 해지 시 실제 손해 금액’을 확인하세요.

아기 돌보면서 재정까지 챙기시느라 마음이 많이 무거우실 텐데,

이 시기에는 유동성을 확보하는 게 심리적으로도 훨씬 편안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