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작년 8월부터 우리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를 시작해서, 저번달(7월기준)으로 매달 70만원씩, 현재까지 840만원을 입금한 학생입니다.제가 재작년에는 한국에서 일을 하고, 작년부터 해외에서 공부를하고 있습니다.얼마전 서민 금융 진흥원으로부터 문자를 받았는데, 청년도약계좌 유지심사 결과 소득확인 기준연도(2024)에 개인소득없음으로 확인되어 25년 9월부터 26년 8월까지 청년도약계좌 납입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이 지급되지 않는다고 합니다.어디선가 청년도약계좌는 3년이상, 적어도 2년이상 유지해야 이득이다라고 들었는데,내년까지도 해외에서 공부로 인해서 국내 소득이 없어 정부기여금을 받지 못하는 저같은 경우도과연 이 계좌를 앞으로 1년, 2년 더 유지하는 것이 이득인지 궁금합니다.이에 1. 청년도약계좌로 납입하는 금액을 줄이거나(매달 최소 납입액),2. 청년도약계좌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자를 수령하거나(매달 70만원),3. 또는 청년도약계좌를 아예 해지하고 그 목돈을 CMA통장으로 이동4. 그외 등의 방안을 고려중입니다.추가로 물론 목돈을 투자등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내후년 학비 납입을 위해 유동성 좋은 자산이 필요한 상황입니다.제 상황에 기반하여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를 계속 유지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정부기여금이 없더라도 장기적으로 이자 혜택이 있어요
학비를 고려해 유동성도 챙기세요!
하루 잘 마무리해보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