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삼국지를 보면 정사에 비해서 대부분의 장수들이 연의에서 미화가 되는데 관우는 왜 쓰래기로 표현이 된건가요?5관6장 당시 관우는 조조가 준 재물과 관직을 그 자리에 놓고 유비에게 떠나는데삼국지 시대의 최고 명마인 적토마는 조조에게 선물 받은거 그대로 타고 가잖아요왜 그렇게 나온건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우선, 말씀하신 관우의 ‘쓰레기처럼’ 보이는 장면은 사실 삼국지연의의 의도적 각색과 후대의 해석 차이에서 비롯된 부분입니다. 정사와 비교해서 보면 이유가 조금 명확해져요.

1. 정사 vs 연의의 차이

• 《정사 삼국지》에서 관우는 조조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상당한 예우를 받고, 일정 기간 조조 휘하에 있다가 유비 소식을 듣고 떠납니다.

• 이때 조조가 준 재물과 관직은 모두 두고 가지만, 말(적토마)에 대해서는 명확히 기록이 없습니다.

• 《삼국지연의》에서는 이 부분을 극적으로 만들기 위해, **“관우가 재물과 인장은 두고 갔지만 적토마는 타고 갔다”**는 묘사가 추가됩니다.

2. 왜 적토마를 그대로 타고 갔다고 했나

• 연의는 역사 기록보다 독자의 감정·극적 효과를 우선시합니다.

• 적토마는 이미 독자들에게 ‘관우의 상징’ 같은 존재였고, 장판파·오관육참 같은 대활약을 가능하게 한 동반자처럼 그려집니다.

• 그래서 “그냥 두고 간다”보다 “유비에게로 돌아가는 충성스러운 여정”을 강조하려고 그대로 타고 가는 설정을 만든 거예요.

• 당시 중국 소설 문법에서는 ‘전리품을 다 버렸지만 무공의 상징만은 지녔다’는 장면이 영웅성을 높이는 장치였는데, 지금 보면 ‘도덕적으로 모순’처럼 읽히는 거죠.

3. 왜 일부 독자들에게 쓰레기로 보이나

• 현대 시각에서는 ‘조조가 준 건데 그대로 타고 가면 훔친 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자연스럽습니다.

• 하지만 원래 연의에서의 의도는 **“조조의 은혜를 물질로 갚지 않고, 자신의 본분(유비에게 돌아감)에 충실했다”**를 부각한 것이었어요.

• 즉, 당시 가치관에서 영웅의 행동으로 미화한 것이, 오늘날 독자 눈에는 도덕적으로 깎여 보이는 겁니다.

결론

관우가 ‘쓰레기’처럼 보이는 건 원래 작가가 비하하려고 한 게 아니라,

연의의 극적 장치와 상징물 연출이 현대 윤리관과 충돌해서 생긴 인식 차이입니다.

정사에서는 적토마를 어떻게 처리했는지 명확하지 않고, 연의에서만 이 설정이 부각됐죠.

다른 질문있으면 언제든 올려주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