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미래적금'은 명칭이 비슷해서 혼동될 수 있지만, 두 제도는 목적과 가입 요건이 완전히 다릅니다.
1. 동시 가입 가능 여부
내일채움공제와 청년미래적금은 원칙적으로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장기 재직 유도를 위한 "고용지원 정책"이며, 청년미래적금(정식 명칭은 '청년도약계좌'로 보입니다. 정부 정책 명칭이 자주 바뀌거나 혼용되기도 합니다.)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금융 상품"이기 때문에 두 제도의 목적이 다르다고 판단되어 중복 가입이 허용됩니다.
2. 두 제도의 차이점
구분 | 내일채움공제 | 청년미래적금 (청년도약계좌) |
목적 | 중소·중견기업 재직자의 장기 근속 및 자산 형성 지원 |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위한 목돈 마련 지원 |
운영 주체 |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금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은행 |
가입 대상 | 중소·중견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만 15~34세 청년 (2년형 기준) | 만 19~34세 청년 중 개인 및 가구 소득 요건 충족자 |
가입 요건 | 기업과 청년이 함께 신청해야 함. 기업 규모, 업종, 청년의 근로 조건 등이 요건에 부합해야 함. | 개인 소득 및 가구 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함.<br>예)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250% 이하 등 |
납입 방식 | 청년, 기업, 정부가 일정 금액을 공동으로 적립 |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최대 70만원) 납입하고, 정부가 기여금 지원 |
만기 금액 | 청년 납입금 + 기업 기여금 + 정부 지원금 + 이자<br>예) 청년 400만원 + 기업 400만원 + 정부 400만원 → 1,200만원 (2년형 기준) | 청년 납입금 + 정부 기여금 + 이자(비과세) |
주요 혜택 | - 목돈 마련 (원금 대비 3배 이상)<br>- 소득세 감면 | - 정부 기여금 지원<br>-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
중도 해지 시 | 해지 사유에 따라 청년 납입금과 이자만 수령 가능하거나, 일부 지원금까지 수령 가능 | 납입금과 중도해지 이자만 수령 가능하며, 정부 기여금은 받지 못함. |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