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상황을 정리하면, 질문은 청년 전세대출과 실업급여 수급 가능 여부를 타임라인 기준으로 확인하는 거군요.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1️⃣ 청년 전세대출 관련
청년 전세대출 요건(2025 기준, 주택도시기금 기준)
연령: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소득: 연소득 5,500만 원 이하 (1인 기준)
혼인 여부: 미혼 또는 혼인신고 전(대출자 기준)
주택 보유 여부: 무주택자
전입신고: 대출 실행 전에 전입신고 필요
타임라인 적용
25.12: 본인 청년 전세대출 실행 →
본인 연 소득 3,000만 원 → 요건 충족 ✅
전입신고 26.02(대출 실행 한 달 전) → 조건 충족 (전입신고는 대출 실행 이전 필요)
배우자: 혼인신고 전이므로 배우자 명의 대출은 신혼부부 대출이 아니라, 청년 전세대출 혹은 단독 신청 가능.
정리: 본인 단독으로 청년 전세대출 실행은 문제 없음 ✅
2️⃣ 실업급여(구직급여) 관련
실업급여 수급 기본 요건
퇴사 전 18개월 동안 피보험자 기간이 180일 이상
비자발적 퇴사(본인이 사유 없이 회사 사정으로 퇴사하거나, 불가피한 사유)
자발적 퇴사 시, 특별한 사유 필요
재취업 활동 가능성
실업 상태: 퇴사 후 즉시 구직 가능 상태
타임라인 적용
26.02.28: 본인 퇴사
26.03.03: 혼인신고
이후 실업급여 신청
실업급여는 퇴사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혼인신고 여부와 전세대출 수급 여부는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전세대출 실행 후 실업급여 신청 가능이므로 두 조건 모두 충족 가능 ✅
주의 사항
퇴사 사유가 자발적 퇴사인 경우 실업급여 수급 시 대기기간과 감액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출을 받은 상태에서 실업급여를 신청해도, 대출과 실업급여는 별개이므로 충돌 없음.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