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수시재수 3학년 2학기 버림 학종 얼마나 불리한가요? 현재 20살이고 작년에 대입에 실패했었습니다.작년 3학년 1학기 기준 내신 국영수과

현재 20살이고 작년에 대입에 실패했었습니다.작년 3학년 1학기 기준 내신 국영수과 1.88, 전과목 2.0 이였는데 멍청하게도 당연히 현역으로 갈줄 알고 3학년 2학기 내신을 버려서 2355 등급을 맞아버렸고가중치로 계산한 결과 전과목 2.3 정도로 많이 떨어졌습니다.작년에 최저 미충족으로 6광탈을 하고 정시에서의 변수가 저에겐 꽤나 크게 작용한다는걸 깨닫고 정시재수보다는 수시재수로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작년에 지원했던 대학 라인보다 한두개정도 떨어뜨려서 1학기까지 반영되는 곳으로 과기대 홍익대 동국대를 지원을 하려고 합니다. 재수생이기 때문에 높은 대학보다는 안전하게 가고싶어서 위에 언급한 수시카드 3장은 과도 조금 낮춰서 안정적으로 합격하고자 합니다, 다만 고등학교때 열심히 공부했기에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그래서 나머지 3장을 종합으로 써서 조금이라도 높게 가고싶은데 3학년 2학기에 갑자기 훅 떨어져버리는 내신의 영향이 많이 클것같아 고민이 됩니다.¹대학에서 이런 생기부를 보고 어떻게 판단할지, 또한 ²이러한 점까지 고려했을때 종합으로 써서 붙을 가능성이 높은 대학들은 어디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생기부는 나름대로 열심히 노력했는데 지방 일반고라는 점에서 그렇게 메리트가 크진 않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상황을 보니 꽤 현실적으로 고민이 깊으실 것 같아서, 대학 입학사정관 입장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와 실제 전략까지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 1. 3학년 2학기 내신 하락이 학종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입학사정관은 전체 학업 추이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보통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이 가장 중요하고, 3학년 2학기는 비교적 반영 비중이 낮습니다.

  • 다만, 3학년 2학기에 갑자기 크게 떨어진 경우:

  • 성적보다 “왜 하락했는가”에 관심을 둡니다.

  • 단순히 ‘버렸다’라는 인상이 남으면 꾸준함/성실성에서 감점 요인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전반 성적이 국영수과 1.88, 전과목 2.0 → 전과목 2.3 정도라면, 여전히 수도권 주요 대학 학종에서 지원 가능권입니다.

즉, 큰 치명타는 아니지만, 분명히 감점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2. 대학이 보는 관점

  1. 전반적 학업 역량: 꾸준히 2등급 초반대 성적을 유지했다는 점은 긍정적.

  2. 3-2 성적 하락: ‘마지막까지 책임감 있게 공부했는가’에 대한 질문을 남김.

  3. 생기부 내용: 동아리·탐구활동·독서·세부능력 특기사항 등에서 진로 연계가 잘 되어 있다면 성적 하락을 어느 정도 보완 가능.

  4. 학교 환경(지방 일반고): 특별한 가산점은 아니지만, 대학은 지역·학교 여건도 일정 부분 감안합니다.

✅ 3. 지원 전략

  • 말씀하신 것처럼 과기대, 홍익대, 동국대를 안정 카드로 두는 것은 매우 합리적입니다.

  • 나머지 학종 카드(3장)는 조금 상향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 중앙대(다소 도전): 2.3등급이면 학종에서 가능성은 있지만, 경쟁이 치열.

  • 건국대·동덕여대·세종대·가톨릭대: 내신 2등급 초반대 학생들의 합격 사례가 꾸준히 있음.

  • 서울여대, 국민대, 숭실대: 종합 전형에서 성적보다 비교과·생기부 활동 반영 비중이 높아 합격 가능성 충분.

즉, 3학년 2학기 하락은 아쉽지만, 학종 지원 자체를 막을 정도로 치명적이지 않음.

✅ 4. 자기소개서·면접 활용 팁

  • 3학년 2학기 하락은 정직하게 인정하고, 다른 강점으로 보완하는 게 좋아요.

  • 예시:

  • “3학년 1학기까지 꾸준히 성적을 유지하며 학업 역량을 쌓았습니다. 다만 2학기에는 대학 입시 준비 과정에서 내신 관리에 미흡한 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 활동을 통해 전공 적합성을 심화했고, 이는 단순한 점수 이상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 이렇게 하락을 무시하지 않고 설명 → 전공 적합성·비교과로 보완하면 사정관 입장에서 납득할 수 있습니다.

✅ 결론

  • 3학년 2학기 내신 하락 = 불리한 건 사실이지만, 전반 성적이 2등급 초반대라 여전히 경쟁력 있음.

  • 대학은 꾸준성과 전공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보므로, 생기부 내용·자소서·면접 준비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 전략은:

  • 안정: 과기대·홍익대·동국대

  • 적정: 국민대·숭실대·세종대·가톨릭대

  • 상향: 건국대·중앙대 일부 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