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신청, 이직 후 다시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
오늘은 많은 직장인분들이 헷갈려하는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와 관련된 질문을 다뤄보겠습니다.
특히,
21년도에 한 번 신청했는데, 24년도 초에 이직한 경우
다시 신청할 수 있는지?
“중소기업 취업 연령” 기재 시 기준이 되는 취업일은 언제인지?
수습기간은 취업일에 포함되는지?
이 부분을 명확히 정리해드립니다.
✅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이란?
청년(만 15세34세)이 중소기업에 취업하면,
일정 기간 동안 **근로소득세의 7090%를 감면**해주는 제도입니다.
최대 5년간 적용 가능하며,
청년의 사회 진입 초기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마련된 제도죠.
이직한 경우, 다시 신청 가능할까?
네, 가능합니다.
소득세 감면은 중소기업 취업 시점마다 다시 신청이 가능합니다.
즉, 21년도에 A중소기업에서 감면 신청을 했더라도,
24년도에 B중소기업으로 이직했다면 새로운 회사에서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취업 연령 기재 기준은 언제?
신청서에 기재하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연령”**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 입사한 날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즉, 이직한 경우라면 이전 회사 취업일이 아니라
지금 다니는 회사의 입사일 기준 나이를 적어야 합니다.
취업일 = 수습기간 포함!
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이거예요.
취업일은 근로계약 시작일(수습 포함) 기준입니다.
즉, 수습기간이라고 해서 별도의 취업일로 보지 않습니다.
최초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입사일 = 취업일이 되는 것이죠.
✅ 정리
이직해도 감면 신청 가능 → 새로운 회사에서 다시 신청하면 됨
취업 연령 기준 → 현재 회사 입사일 기준 나이
취업일 기준 → 수습 포함, 최초 근로계약일
꿀팁
이직 시, 이전 회사에서 받았던 소득세 감면 기간은 합산됩니다.
(예: A회사 2년 + B회사 3년 = 최대 5년 한도)
따라서 이직했다고 해서 새롭게 5년이 주어지는 건 아니니,
남은 기간을 고려해 활용하시는 게 좋아요.
마무리
중소기업 취업 청년 소득세 감면은
“한 번만 가능한 제도”가 아니라 중소기업 입사 시마다 신청 가능한 제도입니다.
다만, 총 5년 한도가 정해져 있으니
이직 시에도 이전 근무기간을 잘 확인하고,
새로운 회사 입사 후 빠르게 신청하는 게 유리합니다.크
워크넷 & 고용24 사용법 완전정복!이미지 예시로 쉽게 따라하는 구인구직 사이트 활용법일자리를 구할 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 많으시죠?요즘은 워크넷(work.go.kr)과 고용24(work.24.go.kr)을 통해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아르바이트까지 정말 다양한 일자리를 찾을 수 있어요.무엇보다 이 두 사이트는 고용노동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공공 플랫폼이라허위공고 걱정 없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워크넷, 고용24의 차이점부터 실제로 어떻게 검색하는지, 모바일 앱까지 ...
dahan.a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