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투영 감정이입 객관적 상관물 세개의 차이를 모르겠어요투영이 감정이입이랑은 다른가요?

세개의 차이를 모르겠어요투영이 감정이입이랑은 다른가요?

투영은 심리학적 개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기 내면의 감정이나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외부의 대상에 덧씌워 지각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자신이 불안한데도 타인이 자신을 미워한다고 느끼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문학에서는 작가나 독자가 자신의 정서를 자연이나 사물에 반사시키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감정이입은 독일 미학 용어인 ‘아인퓔룽(Einfuhlung)’에서 나온 개념으로, 타인이나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의식적으로 이입해 동일시하거나 공감하는 태도를 말한다. 이를테면 시 속의 나무를 보며 그 나무가 슬퍼하는 것처럼 느끼거나, 그림 속 인물의 감정에 함께 반응하는 것이 감정이입이다. 반면 객관적 상관물은 T.S. 엘리엇이 제시한 문학 비평 용어로, 어떤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대신 구체적 사물, 상황, 사건을 제시하여 독자가 그 감정을 자연스럽게 느끼도록 하는 기법을 뜻한다. 예를 들어 이별의 슬픔을 ‘나는 슬프다’라고 말하는 대신, 버려진 편지와 꺼져가는 촛불 같은 이미지를 보여 주어 독자가 같은 정서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투영은 무의식적 감정의 전가, 감정이입은 의식적 동일화, 객관적 상관물은 감정을 객관적인 이미지로 환기시키는 문학적 장치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