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권 4년제 대학중에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가 있나요? (편입으로. 단, 실기 제외)
네 엄청 많죠. 편입을 원하는 학생 치고는 너무 안 알아본 것 같은데요? ㅎㅎ 당장 경기 서울권에만 해도 스포츠산업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스포츠레저학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과학과 등등 엄청 많습니다.
2. 전적대 수강과목을 편입에서 본다던데,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를 지원하려면 전적대에서도 스포츠에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여부를 통해 갈리나요? (중국어학과 과목을 수강한 것이 많아서 걱정이에요) 아니면 이렇게 한거 말고 다른 뜻이 있나요?
전적대 수강과목을 편입에서 본다 라는 기준이 와전된 것 같은데요? 과목은 확인하지 않습니다~ 성적을 체크 하지요.
물론 전공에 따라 선수과목이 있는 경우 과목도 보긴 하지만, 원래 편입이란게 전공이랑 대학이 바뀌는거라 이전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이수했냐 전혀 의미 없습니다.
신경 쓸 필요 없으세요~
3. 스포츠매니지먼트학과 편입 시 요구되는 영어 수준과 준비 방식은 어떤가요? (토익, 편입영어, 공인영어 대체 여부 등 확인 필요)
학교마다 달라요. 편입시험으로 영어 시험을 따로 보는 학교도 있고, 공익영어 성적으로 대체가 되는 학교도 있어요.
편입영어 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라면 무조건 학원 등록해서 수업을 하는게 좋고, 공인영어 성적으로 대체하는 학교의 경우 당연히 성적이 높을 수록 좋은거지 어느 수준에 맞춰서 준비한다~! 이런 부분은 사실상 편입 합격이 어렵습니다.
4. 학점 관리가 편입에서 어느 정도 중요한가요? (예: 4.0 이상 vs 3.5 정도)
[학점 커트라인, 장학금 연계 여부}
학점 관리 또한 마찬가지 부분인데요... 모집요강에 따라 편입시험이 있는 경우 전적대 성적 반영 없이, 시험 성적만 반영이 되는 경우가 있고,
전적대 성적이 반영이 되는 경우라면 4.0 이상은 무조건 유지하는게 좋아요.
특히 인서울 학교라면 대부분 준비하는 학생들은 성적 4.0 이상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5. 편입 후 전공 따라가기 어려움이 있나요? (중국어학과 → 스포츠경영/스포츠산업)
[선수 지식이 부족할 경우 보충 방법]
당연히 이건 개인차이 인데요? 계절학기 라던가 여러 보충할 방법이 있기 때문에 졸업까지 전공이 본인과 맞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문제는 크게 없습니다.
6. 서울권 스포츠 관련 학과 말고 대안이 될 수 있는 학과는 무엇인가요?
예: 경영학과(스포츠경영과 유사), 글로벌스포츠산업학과, 여가·레저학과 등
1번 질문과 유사한 듯 싶은데요? 스포츠산업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스포츠레저학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과학과 등등 학과는 정말 많아요~!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