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주휴수당 관련 이요!! 근로계약서를 작성할때 근무하는 요일이정확히 적혀있지 않았습니다. 근무하는요일이 아예 나와있지 않았어요.

근로계약서를 작성할때 근무하는 요일이정확히 적혀있지 않았습니다. 근무하는요일이 아예 나와있지 않았어요. 처음 알바를 지원할 때 조건은 화~금 4시간씩 11000원의 조건으로 알바를지원하였고, 사장님께서 월요일도 나와달라,주말도 나와달라 하셔서 일주일 내내나가게 되었습니다. 주말에 나간것은주말 알바를 아직 구하지 못하셨나 싶은마음에 대타 용도로 나갔었어요. 곧 알바비를 받게 되는데 이러면주휴수당 금액이 궁금하여서 질문 드려요.또한 근로계약서에 근무하는 요일이나와있지 않아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도궁금합니다. 또한 제가 주말에 나가지 못한 경우에그 주의 주휴수당을 받지 못하는지도궁금합니다. 제가 고용되었을 당시의조건은 화~금 4시간씩이였습니다.

근로계약서에 구체적인 근무 요일이 명시되지 않았더라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상황에서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주휴수당 지급 기준과 계산 방법입니다.

기본 지급 조건입니다.

-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 지급

-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경우에만 지급

- 주휴수당은 1일 소정근로시간(통상 8시간)에 해당하는 임금

현재 상황에서의 주휴수당 계산입니다.

화-금 4시간씩 근무하는 경우입니다.

- 기본 근무시간: 주 16시간 (15시간 초과로 주휴수당 대상)

- 주휴수당: 시급 11,000원 × 8시간 = 88,000원

추가 근무일이 있는 주의 경우입니다.

- 월요일이나 주말 추가 근무 시에도 소정근로일 개근 조건 충족하면 주휴수당 지급

- 다만 소정근로일이 무엇인지 명확히 해야 함

근로계약서 미비로 인한 문제점들입니다.

소정근로일 기준이 모호한 상황입니다.

- 원래 조건인 화-금이 소정근로일인지, 추가 근무까지 포함한 전체가 소정근로일인지 불분명

- 이런 경우 보통 실제 근무 패턴을 기준으로 판단

주말 미근무 시 주휴수당 지급 여부입니다.

만약 월-일 전체가 소정근로일로 인정된다면 주말 미근무 시 해당 주의 주휴수당은 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원래 계약 조건인 화-금만이 소정근로일이라면 주말 미근무와 상관없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해결 방안입니다.

사업주와 명확한 합의가 필요합니다. 소정근로일이 무엇인지, 추가 근무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하고 근로계약서를 보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