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옥내소화전 수동(on-off) 방식 동력제어반 역할 및 가닥수 옥내소화전 자동방식은 원리와 가닥수가 이해가 됩니다. 그중에서  MCC(동력제어반)  기동/정지/기동표시/정지표시/공통 5가닥

옥내소화전 자동방식은 원리와 가닥수가 이해가 됩니다. 그중에서  MCC(동력제어반)  기동/정지/기동표시/정지표시/공통 5가닥 이해가 갑니다저기서 기동이랑 정지는 펌프를 기동하고 정지하는걸로 이해가 되는데요.......옥내소화전 수동방식에서는 옥내소화전에 on/off 버튼으로 펌프를 기동하는걸로 배웠는데...그러면 수동에서 MCC의 기능이나 역활이 뭔가요 ?수동에서 옥내소화전 내 on/off 버튼으로 펌프를 기동하면MCC역활에서 기동/정지 가닥수는 필요하지 않은것 아닌가요 ?왜 수동에서도 MCC는 5가닥이 필요한가요 ???제발 자세히 알려주세요 ㅜㅜ

질문자님

전제

1. 옥내소화전의 on/off 스위치는 모터 전원을 직접 차단하지 않습니다.

2. 모터의 기동·정지, 보호, 상태표시는 모두 MCC(동력제어반)의 제어회로가 수행합니다.

3. 따라서 수동이든 자동이든 현장 스위치는 결국 MCC 제어회로를 원격으로 조작하는 신호원일 뿐입니다.

수동 방식에서 MCC의 역할

1. 전원·모터 보호: 차단기, 열동계전기, 결상·과전류 보호, 지락감시 기능을 수행합니다.

2. 기동 논리: 직입, △-Y, 소프트스타터 등 기동방법을 수행하며, 자기유지 및 인터록 회로를 포함합니다.

3. 정지 논리: 비상정지, 시험운전 종료, 오기동 해제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4. 상태감시·표시: 운전 중, 정지·고장, 전원상태 등을 램프로 내보냅니다.

5. 선택·연동: 원격/로컬, 자동/수동 선택 및 다른 펌프(예: 조키펌프)와의 인터록을 수행합니다.

6. 신호전원 분배: 현장 스위치와 표시등에 필요한 제어전원(주로 DC 24V)을 공급하고 회수합니다.

왜 수동에서도 5가닥이 필요한가

현장 on/off 버튼이 모터를 직접 켜고 끄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현장에서는 다음 신호를 MCC로 보내거나, MCC에서 만들어낸 표시신호를 되돌려줍니다. 일반적인 5가닥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동선: 현장 기동 버튼(NO 접점)에서 MCC로 들어가는 명령선

2. 정지선: 현장 정지 버튼(NC 접점)에서 MCC로 들어가는 명령선

3. 운전표시선: MCC가 모터 운전 중임을 현장 램프에 출력하는 선

4. 정지/고장표시선: MCC가 정지 또는 트립을 현장 램프에 출력하는 선

5. 공통선: 위 신호들의 공통 리턴(대개 0V)

핵심은 기동·정지 두 가닥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현장 on/off가 유지형 스위치라 하더라도 실제 모터 주회로를 온오프하는 것은 MCC의 콘택터이므로, 명령선을 통해 MCC를 조작해야 합니다. 표시 두 가닥은 안전·유지보수·관제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가닥수 변형 예시와 판단 기준

1. 3가닥: 기동, 운전표시, 공통. 정지는 MCC 전면에서만 가능. 소규모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만 화재설비에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2. 4가닥: 기동, 정지, 운전표시, 공통. 최소 안전구성.

3. 5가닥: 기동, 정지, 운전표시, 정지/고장표시, 공통. 현장 확인성이 높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4. 6~7가닥: 비상정지, 현장 전원표시, 저수위/저압 인터록 등 추가 기능이 요구될 때 사용됩니다.

신호 전압·접점 형태의 일반 규칙

1. 제어전원은 DC 24V가 보편적이며, 일부 현장표시는 AC 220V 램프를 쓰기도 합니다.

2. 기동 버튼은 순간형 NO, 정지 버튼은 순간형 NC 접점을 사용합니다.

3. 운전표시는 MCC의 콘택터 보조접점에서, 정지/고장표시는 트립 릴레이에서 구동합니다.

수동과 자동의 관계

1. 자동: 압력스위치·유량스위치가 MCC에 기동신호를 보냅니다.

2. 수동: 현장 on/off 스위치가 동일한 MCC 입력단에 명령을 줍니다.

3. 선택 스위치: 원격/로컬, 자동/수동 선택에 따라 유효 입력을 전환하며, 어떤 경우에도 실제 모터 제어는 MCC가 수행합니다.

간단 배선 개념도

현장박스

[기동 PB(NO)]───(기동입력)────────────┐

[정지 PB(NC)]───(정지입력)────────────┤

[운전램프]◀────(운전표시출력)───────┤

[정지/고장램프]◀(정지/고장표시출력)──┤

[공통]────────(공통리턴)───────────┘

MCC 제어단자

→ 콘택터/릴레이/보호계전기 → 모터

현장 적용 시 체크리스트

1. 도면 단자번호와 선심명칭을 일치시켜 라벨링해야 합니다.

2. 제어전압과 램프 정격, 공통선 공유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3. 버튼 접점논리(NO/NC)와 자기유지 회로 동작을 시험해야 합니다.

4. 원격/로컬, 자동/수동 선택 스위치 위치별 유효입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5. 트립 시 정지/고장표시가 현장에서 확실히 표시되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요약

1. 수동이라도 MCC는 모터 제어의 본체입니다.

2. 현장 on/off는 MCC 제어회로에 명령을 보내는 원격 스위치일 뿐입니다.

3. 따라서 기동·정지·표시·공통을 포함한 5가닥 구성이 표준입니다.

4. 현장 요구와 기준에 따라 4가닥 또는 6가닥 이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으나, 안전성과 정비성을 고려할 때 5가닥 구성이 가장 합리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