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내용에 대한 답변을 정리해서 드립니다.
1. 청약저축 해지에 대한 소견
1) 청약저축 유지했을 때 장점
● 가입기간·가점 유지 → 민영청약 가점(최대 17점)은 시간으로만 쌓이는 자산.
● 공공분양 자격 → 이미 쌓인 납입횟수·금액이 그대로 인정.
● 금리 → 연 1.5~2%대로 보통 적금과 비슷하거나 높음.
● 소득공제 혜택 → 무주택 세대주+연봉 7천 이하라면 연 240만 원까지 공제, 최대 96만 원 절세.
● 유지비용 낮음 → 월 2만 원만 넣어도 가점은 똑같이 쌓이고, 납입을 멈춰도 계좌와 기간은 살아있음.
2) 해지했을 때 결과
● 지금까지 쌓인 가입기간·납입횟수 이력 전부 소멸.
● 단순히 현금(150만 원+이자) 회수.
● 이후 다시 가입해도 0부터 다시 시작해야 함.
◆ 정리
현금 유동성이 급하지 않다면, 청약저축은 금리·절세·가점까지 고려해 유지하는 쪽이 훨씬 유리합니다.
청약 계획이 정말 전혀 없을 때만 해지 고려가 적절합니다.
2. 해지 방법
● 국민은행 주택청약종합저축은 KB스타뱅킹 앱(모바일), 인터넷뱅킹,
또는 KB국민은행 영업점(어느 지점이든 가능)**에서 해지 가능합니다.
● 모바일에서 안 된다면,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 지참 후 가까운 지점 가시면 바로 처리됩니다.
해지 불가한 경우는 없습니다.
※ 다만, 예금 담보대출이나 압류 등 권리 설정이 걸려 있는 경우에는 해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문제 없이 해지 가능)
3. 해지 시 정리
● 원금 + 이자(세후) 돌려받습니다.
● 이자는 청약저축 금리가 적용됩니다.
● 해지금은 통장 해지 시 바로 계좌로 입금되거나 현금 수령 가능합니다.
◆ 결론:
네, 원하시면 아무 KB 지점 가셔서 신분증만 제시하면 해지 가능합니다.
“해지 못한다거나 막혀 있다”는 경우는 특별한 권리 제한이 걸린 경우 외에는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