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이사 [전입]전 해야할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20대 초 청년입니다 이번에 취업을 하게 되면서 타지역으로 이사를

안녕하세요 20대 초 청년입니다 이번에 취업을 하게 되면서 타지역으로 이사를 가게됬습니다 아무래도 스스로 자취방 계약하고 모든걸 혼자해야하는 상황이라조금 어려워서 묻고자합니다 1. 부동산 계약당시 전입신고/임대차?? 뭐가 해야할게 많은거 같은데ㅠㅠ 세세히 좀 알려주셨으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2.기존 세입자가 들어가던 오피스텔에 들어가게 됬는데 예전에 다른 건물을 들어갔을 때, 이전 사람이 가스비 같은 관리비를 3~4개월 미납해서골치 아팠던 기억이 있어서.. 확인 할 방 법이 있을까요?3. 도시가스 신청을 입주 2~3일전에 미리 하라고 해서 오늘 오전에 지역 도시가스(SK이노베이션)에 전화하여 예약을 했는데 집주인 부재 형식으로 기사 방문이 됬는데방문 비용이 든다네요.. 알기로는 가스 검침하거나 밸브 만져보는게 끝인걸로 아는데원래 비용이 들까요 ㅠㅠ? 4.인터넷 같은 경우에는 따로 계약 사항에 옵션에 없던데인터넷 신청을 따로 해야하나요 아니면 공유기만 개인적으로 가져오면 되나요?5. 이사 할 때 용달 부를 생각인데 20만원 선에서 해결하고싶은데혹시 추천해주실만한 플랫폼이 있을까요?짐은 많진 않습니다 [컴퓨터책상(상판/다리분리)/컴퓨터본체/5호PP 3~5개/모니터박스2개/그외±2]인생 처음으로 혼자 부동산 가서 계약하고 혼자 다 해보려니너무 어렵게 느껴지네요 ㅠㅠ인생 선배님들의 멋진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이사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일은 새로운 거주지 계약을 꼼꼼히 확인하고, 이삿짐센터를 예약하며, 짐을 정리하고 폐가전수거를 신청하는 등 이사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이사 당일에는 이전 집의 관리사무소에 미리 알리고 엘리베이터 사용료를 정산하며, 새로운 집의 관리소에 입주민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사 후에는 새집에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세입자만)를 14일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우편물 주소 이전, 공과금 정산, 인터넷 및 렌탈 서비스 이전 설치 등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사 전 준비 사항

  1. 1. 계약 확인 및 전세/월세 계약:

  2. 새 집의 주소, 보증금, 계약 기간을 꼼꼼히 확인하고, 임대인이 실제 임대인인지, 대리인 계약 시 위임장을 확인합니다.

  3. 2. 이삿짐센터 예약:

  4. 여러 업체에서 견적을 받아 비교하고, 필요한 서비스가 포함되었는지 확인하여 허가된 업체를 선정합니다.

  5. 3. 짐 정리 및 폐기물 처리:

  6. 불필요한 물건을 정리하고, 폐가전 수거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중고 거래를 통해 처분합니다.

  7. 4. 이사 날짜 및 시간 확인:

  8. 이삿짐센터와 이사 출발 및 도착 시간을 미리 확인하고, 아파트의 경우 엘리베이터 예약 및 사용료 정산을 해야 합니다.

  9. 5. 이사 전 청소:

  10. 새로운 집을 깨끗하게 사용하기 위해 입주 청소 전문 업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1. 6. 렌탈/인터넷 이전:

  12. 인터넷, 정수기, 에어컨 등의 렌탈 서비스를 미리 해지하거나 이전 설치 예약을 합니다.

  13. 7. 도시가스 철거 및 설치:

  14. 이사 2~3일 전에 도시가스 철거 예약을 하고, 새집에서 도시가스 연결 신청을 합니다.

이사 당일 할 일

  1. 1. 관리사무소 방문:

  2. 이사 갈 아파트의 관리사무소에 이사 날짜를 알리고, 입주민 등록 카드 작성 및 주차 등록을 합니다.

  3. 2. 잔금 및 공과금 정산:

  4. 이전 집의 관리비, 수도, 전기, 가스비 등을 정산하고 보증금을 받아야 합니다.

이사 후 해야 할 일 (14일 이내)

  1. 1. 전입신고:

  2. 새로운 거주지로 이사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전입신고를 합니다.

  3. 2. 확정일자 신청 (세입자):

  4. 세입자는 보증금 보호를 위해 임대차 계약서에 확정일자를 받아야 하며, 주민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5. 3. 주소 변경:

  6. 우편물, 통신, 금융, 온라인 서비스 등의 주소지를 변경하고, 급여 수급자의 경우 거주지 변경 신고를 합니다.

  7. 4. 학교 및 공과금 이전:

  8. 자녀의 학교 배정을 위해 전입신고가 필수이며,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이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