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와 청년미래적금 모두 가입 대상 조건이 있습니다.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의 만 19세부터 34세 청년 및 연 매출 3억 원 이하 자영업 청년으로 확대됩니다.
청년도약계좌와 2026년에 시행될 청년미래적금 둘 다 월급명세서나 회사 이름이 반드시 나와야 이자율이나 횟수 조건이 충족되는 것은 아닙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과거 청년희망적금과 달리 사업주가 가입하거나 월급계좌에 회사명이 찍혀야 하는 조건은 현재 없으며, 가입자가 본인 계좌에 월 납입금을 자유롭게 입금하면 이자율과 지원금 조건이 충족됩니다.
즉, 월급명세서에 회사 이름이 반드시 필요한 조건은 폐지된 상태입니다. 다만 가입 시 소득 증빙 서류(급여명세서 등)는 제출해야 하며, 첫 급여 수령 후 은행에 소득 정보가 반영되어야 가입 및 지원금 산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2026년 도입 예정인 청년미래적금도 본인의 월 납입금(최대 50만원)에 따라 정부 지원금과 이자 혜택이 결정되며, 사업주가 가입하거나 월급계좌에 회사명이 찍히는 별도의 조건은 없습니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 청년희망적금은 사업주가 가입하고 월급계좌에 회사명이 반드시 나와야 했으나, 최신 청년도약계좌 및 청년미래적금은 개인이 본인 명의 계좌에 납입하면서 조건을 충족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다만 가입과 지원금 산정을 위한 소득 증빙 절차(예: 급여명세서 제출 등)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아래에 청년도약계좌와 26년 시행될 청년미래적금 발표내용을 읽어보시고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