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문제의식이에요
국가 입장에서 실업률 통계는 해외 투자자, 국제 신용평가, 국제 비교지표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보여주기용” 성격이 강해질 수밖에 없죠. 다만 여기서 중요한 건 실업률 지표의 정의 방식이에요.
왜 체감과 통계가 다른가?
실업률의 공식 정의
한국을 포함해 국제적으로 통계청은 “실업자 =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한 사람”으로 한정합니다.
→ 즉, 아예 구직을 포기한 사람(취업 단념자), 시간제 아르바이트만 하는 사람, 질 낮은 일자리 종사자는 ‘실업자’로 집계되지 않음.
30대 100명 중 80명 경제활동?
맞습니다, “경제활동참가율” 통계를 보면 30대는 남녀 합쳐 75~80% 정도가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경제활동’에는 정규직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계약직, 단시간 알바, 자영업 등 모든 노동이 들어갑니다.
→ 그래서 “정규직 80%”가 아니라 “노동시장에 어떤 형태로든 참여하고 있는 비율”을 의미하는 거예요.
국가의 입장
실업률을 낮게 유지해야 “우리 경제가 안정적이다”라는 신호를 해외에 줄 수 있음.
하지만 동시에 국민 입장에서는 체감실업률(청년 체감실업, 고용의 질 문제)이 훨씬 더 높게 느껴짐.
그래서 정부는 보통 공식 실업률 + 보조지표(고용보조지표, 확장실업률) 두 가지를 함께 발표합니다.
✅ 정리하면,
국가는 보여주기 차원에서 낮은 실업률을 유지하고 싶어 하지만,
통계 방식 자체가 “실제로는 백수에 가까운 사람”을 많이 제외하기 때문에 국민 체감과 괴리가 생기는 거예요.
30대 경제활동참가율 80%라는 말은 “정규직 80%”가 아니라 “일을 하거나 구직 중인 사람 비율”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