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 12,000원에 하루 3시간 50분 근무하시는 경우의 급여 계산에 대해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1. 시급 계산 기준
하루 3시간 50분은 시간으로 환산하면 3시간 + (50분 ÷ 60분)이므로 약 3.833시간입니다.
따라서 하루 급여(세전)는 12,000원 × 3.833시간 = 46,000원입니다.
# 2. 주휴수당 적용 여부
주 2회 근무하시면 주당 총 근무 시간은 3.833시간 × 2회 = 약 7.666시간입니다.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지급되므로, 현재 근무 형태로는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3. 총 3번 근무했을 때의 급여
* 세전 급여: 46,000원 × 3일 = 138,000원
* 소득세 3.3%를 제하면: 138,000원 × (1 - 0.033) = 138,000원 × 0.967 = 133,446원
# 4. 총 5번 근무했을 때의 급여
* 세전 급여: 46,000원 × 5일 = 230,000원
* 소득세 3.3%를 제하면: 230,000원 × (1 - 0.033) = 230,000원 × 0.967 = 222,410원
# 5. 한 달 월급 계산
한 달은 평균적으로 약 4.34주입니다. * 월별 근무 일수: 주 2회 × 4.34주 = 약 8.68일 (평균적으로 한 달에 8~9일 근무)
* 세전 월급: 46,000원 × 8.68일 = 약 399,280원
* 소득세 3.3%를 제하면: 399,280원 × (1 - 0.033) = 399,280원 × 0.967 = 약 386,117원
# 6. 실제 수령액이 계산과 다른 이유
3일 근무 시 계산된 세후 급여는 133,446원인데, 120,110원을 수령하신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세금 공제 방식: 일반적으로 알바 급여에서 3.3%의 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를 원천징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사대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사대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가 추가로 공제될 수 있습니다.
* 실제 근무 시간 계산의 차이: 50분을 정확히 50/60시간으로 계산하지 않고, 사업장에서 소수점 셋째 자리 이하를 반올림 또는 버림 처리하거나, 특정 분 단위(예: 10분, 30분 단위)로 시간을 계산하는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식대 또는 기타 수당 포함 여부: 급여에 식대나 다른 수당이 포함되거나, 반대로 특정 비용이 차감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시려면 근무하시는 사업장에 급여 명세서 확인을 요청하시거나, 급여 담당자에게 어떤 기준으로 급여가 산정되었는지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명확한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