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70세가 넘으신 부부께서 기초연금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직접 모의계산을 해보시기 어려운 상황이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어르신께서 제공해주신 재산 정보를 바탕으로 2025년 기준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을 자세히 계산해 드리겠습니다.
기초연금의 핵심 기준: 소득인정액
기초연금은 어르신의 '소득'과 '재산'을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일 때 지급됩니다.
소득인정액 = 소득평가액(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재산)
질문자님의 경우, 소득은 없으시다고 하셨으므로 재산의 소득환산액만 계산하면 됩니다. 2025년 부부 선정기준액인 3,648,000원을 넘지 않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 부동산 (주택 및 토지)
재산가액에서 지역별 '기본재산액'을 공제한 후 남은 금액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서울 기본재산액 (2025년 기준): 1억 5,300만 원 (2024년 1억 3,500만 원에서 상향 조정됨)
구분 | 공시지가 | 기본재산 공제 | 소득환산액 계산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아파트 | 4억 5,100만 원 | -1억 5,300만 원 | (2억 9,800만 원 ÷ 12개월) × 0.04 | 약 993,000원 |
홍천 토지 | (계산생략) | -0원 | (세액이 낮아 재산가액이 미미) | 약 20,000원 |
총 부동산 소득환산액 | 약 1,013,000원 |
설명: 서울 아파트 공시지가에서 서울 지역 기본재산액을 공제한 후, 남은 2억 9,800만 원을 연 4%의 소득으로 환산하여 월 99만 3천 원이 산출됩니다. 홍천 토지는 세금으로 볼 때 재산가액이 크지 않아 기본재산액 공제를 받고 남은 금액이 거의 없거나 매우 미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금융재산 (예금 및 적금)
금융재산에서 '기본 생활비 공제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소득으로 환산합니다.
금융재산 공제액 (2025년 기준): 250만 원
구분 | 금융재산 | 금융재산 공제 | 소득환산액 계산 | 재산의 소득환산액 |
예금 및 적금 | 5억 원 | -250만 원 | (4억 9,750만 원 ÷ 12개월) × 0.04 | 약 1,658,000원 |
설명: 총 5억 원의 금융자산에서 가구당 250만 원을 공제한 후, 남은 4억 9,750만 원을 연 4%의 소득으로 환산하여 월 165만 8천 원이 산출됩니다.
결론: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
질문자님 부부의 예상 **'소득인정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총 소득인정액 = 부동산 소득환산액 (약 1,013,000원) + 금융재산 소득환산액 (약 1,658,000원)
총 소득인정액 = 약 2,671,000원
2025년 부부 선정기준액인 3,648,000원보다 질문자님의 예상 소득인정액(약 2,671,000원)이 낮으므로, 기초연금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전 신청에서 취소되었던 이유는 아마도 작년까지의 재산기준이 지금보다 낮았거나, 금융재산이 지금보다 더 많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에는 선정기준액과 기본재산액이 크게 상향 조정되어 혜택을 받으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확한 계산과 신청을 위해서는 주민등록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방문하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