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네이버 지식iN 자동차 외장 복원 분야 상담위원, 송파·잠실 덴트명장 대표이사 김만영입니다.
저희는 수입차 문콕·덴트, 판금도색, 무판금덴트·무페인팅, 글래스코팅(미라지골드), 신차 유리막코팅, 보험수리까지, 수입차 외장 복원에 특화된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벤츠 GLE 풀체인지(2025년형 또는 최신 세대 기준)의 주행 성능과 연비, 특히 서스펜션 & 엔진 업그레이드 부분을 정리해드릴게요. 국내/해외 공개정보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라 일부 사양은 국가별로 다를 수 있고, 공인연비는 실주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엔진 옵션 및 파워트레인
벤츠 신형 GLE는 여러 엔진 구성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포함해서 다양하게 나옵니다. 주요 옵션들은 다음과 같아요:
트림 또는 엔진 종류 | 배기량 / 구성 | 하이브리드 여부 / 특징 | 출력 / 토크 / 제로백 등 |
GLE 350 | 2.0L 터보직렬 4기통 + 마일드 하이브리드(48V) | 마일드 하이브리드로 시동/정차/저부하 시 연비 보조 | 약 255 마력, 토크 약 295 lb-ft (≈ 약 40kg·m) Car and Driver+3Mercedes-Benz of Easton+3메르세데스-벤츠+3 0-100km/h 가속 약 6.6-7.0초 대 Car and Driver+2다음뉴스+2 |
GLE 450 4MATIC | 3.0L 직렬 6기통 터보 + 마일드 하이브리드 | 고출력 + 정숙성 강화 | 약 375 마력, 토크 약 369 lb-ft (≈ 약 50kg·m) 0-100km/h 약 5.3초 다나와 자동차+3Mercedes-Benz of Easton+3메르세데스-벤츠+3 |
GLE 450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2.0L 터보 + 전기모터 결합 | 전기 주행 가능 거리 추가됨 | 복합 출력 약 381 마력, 토크도 강함 (합산값) Mercedes-Benz of Easton+1 |
GLE 580 | 4.0L V8 트윈터보 + 마일드 하이브리드 | 고성능 + 럭셔리 가치를 위한 트림 | 약 510 마력, 상당한 토크량 Mercedes-Benz of Easton+1 |
AMG 버전들 (GLE 53, GLE 63 S 등) | V8 또는 고출력 6기통 기반 AMG 튜닝 | 퍼포먼스 중심 — 브레이크, 배기, 드라이브 모드 등이 강화됨 | GLE 63 S의 경우 약 603 마력, 토크도 매우 높음 Mercedes-Benz of Tyler+1 |
서스펜션 & 차체 / 주행 성능 업그레이드
새 GLE는 이전 세대와 비교해 다음과 같은 주행 관련 기술/구성 변화가 있습니다:
E-ACTIVE BODY CONTROL: 48V 전기 시스템 기반의 능동 서스펜션. 각 바퀴의 댐핑 및 차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코너링 시 차체 롤 제어, 노면 따라 휠 독립적인 움직임 조절 등이 개선됨. Car and Driver+2Mercedes-Benz Media+2
에어매틱(AIRMATIC) 서스펜션 옵션: 기본 서스펜션 대신 에어 스프링/에어 서스펜션을 선택 가능. 승차감 향상 + 속도/로딩/도로조건에 따라 높낮이나 서스펜션 감쇠력 조절 가능함. Mercedes-Benz of Easton+1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 통합 스타터 제너레이터(ISG): 시동/정차 시 진동/소음 감소, 터보랙 보조, 코스팅 기능 등으로 연비 및 응답성 향상에 기여함. 다나와 자동차+2Car and Driver+2
차체 및 무게 절감/효율 최적화: 소재/공법 개선, 공기저항, 기어박스 및 구동계 효율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실 주행에서의 느낌이 이전보다 민첩하고 안정적임. Car and Driver+1
이런 기술들 덕분에 가속성, 코너링 안정성, 노면 요철 흡수성, 고속 안정감 등이 크게 개선된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 연비 & 효율
실제/공인 및 국내 공개된 수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고, “이런 변화가 있음” 정도로 참고하시면 좋아요:
엔진/트림 | 해외 공인 연비 / EPA 기준 (도심 / 고속 / 복합) | 국내 공인 또는 국내 발표 연비 |
GLE 350 (2.0L 마일드 하이브리드, AWD 또는 RWD) | 약 도심 21 mpg / 고속 28 mpg 정도 for RWD, AWD는 약간 낮음. (≈ 도심 9-10 km/L, 고속/복합은 더 높거나 낮을 수 있음) Car and Driver+1 | 국내 GLE 350 4MATIC 복합연비 약 8.7 km/L 발표됨. 유카포스트 |
GLE 450 | 연비가 높진 않지만, 6기통 + 하이브리드 보조로 이전 6기통 단독 대비 효율 개선됨. EPA 기준 복합 연비는 GLE350랑 비슷 또는 약간 낮음 (도심-고속 비율 따라) Car and Driver+1 | 아직 국내 정확 발표치는 다양하나, 고성능 트림인 만큼 연비 희생 요소 있음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GLE 450e 등) | 전기모드 주행 가능 거리 덕분에 도심 위주 쓰면 유리. 고속이나 전기 배터리 방전 후엔 연료소비 커짐. Mercedes-Benz of Easton+1 | 국내 도입 시 전기모드 거리 및 무게 등에 따라 실제 효율은 차이가 큼 |
고출력 V8 / AMG | 연비는 많이 낮아지는 편—도심 주행 시 빠르게 mpg / km/L 하락. 고속도로 위주 또는 가벼운 주행 시에는 조금 나아짐. Car and Driver | 국내에서 고급 유가 + 세금/보험 부담 고려하면 “성능 대가”가 큰 트림임 |
⚖ 전체 평가 및 실주행 감안 사항
풀체인지 GLE는 성능 + 럭셔리 + 편의성의 밸런스를 더 잘 맞춘 느낌이에요. 이전보다 승차감과 주행 안정성이 눈에 띄게 좋아졌다는 리뷰가 많습니다.
다만, 무게가 크고 크기도 큰 대형 SUV라서 아무리 기술이 좋아도 연비가 소형차나 세단 대비 떨어지는 건 당연함.
한국처럼 도심 / 고속 혼합 / 정체 많은 환경에서는 마일드 하이브리드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트림이 특히 유리할 수 있고, 풀 타임 AWD나 고출력 옵션은 연비 희생이 큼.
또한, 옵션 사양 (서스펜션, 휠 크기, 타이어 규격, 공기저항 관련 패키지 등)에 따라 실제 주행성능과 연비는 꽤 달라짐.
답변채택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