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씀하신 상황을 정리해보면, 월급 200만 원으로 고금리 적금, 청년도약계좌, 주택청약드림통장 3곳에 나눠 넣어 5년 안에 1억 목표를 세우고 싶으신 거군요. 현실적으로 어떻게 배분하면 좋을지, 장단점과 전략을 함께 안내드릴게요.
1. 기본 가정
월급: 200만 원
목표: 5년 안에 1억
예금/적금:
고금리 정기적금(세전 3.5%)
청년도약계좌(월 최대 70만 원, 정부매칭 있음)
주택청약드림통장
포인트:
5년 안에 1억을 만들려면 단순 계산으로 매월 160~170만 원 정도를 꾸준히 저축해야 합니다.
월급 200만 원에서 160만 원씩 저축은 생활비를 거의 쓸 수 없는 수준이므로, 현실적인 목표 조정 필요.
따라서 “3분할” 전략은 좋지만, 비율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적금별 특징
적금 종류 | 장점 | 주의점 |
고금리 정기적금 | 금리 높음, 안정적 | 1년 이상 가입 시 최대 이자 가능. 중도해지 시 손실 |
청년도약계좌 | 정부 매칭 지원(6~12%), 세제혜택 | 월 납입 한도 있음, 최소 3년 이상 유지 권장 |
주택청약드림통장 | 청약자격, 소액으로도 주택청약 가능 | 이자율 낮음, 단순 저축 목적 |
3. 추천 월 배분 (예시)
월급 200만 원 기준, 생활비 최소 50~60만 원 남긴다고 가정:
적금 | 월 납입액 |
청년도약계좌 | 70만 원 (한도 최대) |
고금리 적금 | 50만 원 |
주택청약드림통장 | 30만 원 |
총 저축 | 150만 원 |
생활비 | 50만 원 |
4. 적금 기간 선택
1년 vs 6개월:
금리 측면에서는 1년 정기적금이 유리
6개월은 금리가 거의 의미 없고, 생활비에 따라 유동성 확보용으로만 추천
자유적금으로 해도 되지만, 고금리 적금처럼 세전 3.5%를 노리려면 정기적금이 낫습니다.
5. 은행 선택
주거래 은행이 하나은행이면 모두 하나은행으로 진행해도 문제 없음
단, 상품별 금리·혜택 비교는 꼭 필요
다른 은행이 고금리/정부지원 적용이 더 유리하면 해당 은행에서 가입 가능
6. 전략 요약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 우선순위 최상
고금리 정기적금 50~60만 원 → 1년 단위로 쌓기
주택청약드림통장 30만 원 → 장기 저축 목적
생활비 최소 확보 → 50만 원 이상
5년 1억 목표는 현실적으로 월 150만 원 정도 저축으로 5년이면 약 9,000~9,500만 원, 정부 매칭·이자 합치면 1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