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급해요)20대 후반 월급 200 적금 추천 경제 관념이 부족해서 일단 '일단 1억만 모읍시다'란 책을 읽었는데요 세전

경제 관념이 부족해서 일단 '일단 1억만 모읍시다'란 책을 읽었는데요 세전 이자율 3.5프로 적금을 가입해서 1년에 130~153만원씩 저축하고 1년마다 13만원씩 늘려서5년이 되면 1억을 만들 수 있다고 했거든요근데 이 130~153만원을 하나는 정기적금, 하나는 청년희망적금이나 도약계좌에 나눠서 넣으래요근데 전 월급이 200만원이고..6개월 뒤면 퇴사를 해야 되는 상황이라서1년짜리 적금을 할지 6개월짜리 적금을 할지 고민이 되는데 이자는 6개월은 별로 되지도 않는 것 같고그리고 요즘은 다 정기보단 자유적금이던데 자유적금에 해도 괜찮겠죠?도약계좌는 일단 신청해서 70만원씩 넣으려구요 내년에 청년미래적금으로 바뀌면 전환하려구요그리고 주택청약종합저축 농협꺼 있었는데 돈 얼마 안넣었어서.. 주택청약드림통장 이걸로 새로 만들어서 돈 넣고 싶은데결론 고금리 적금, 청년도약계좌, 주택청약드림통장 3분할로 적금하고 싶은데 월급 200으로 괜찮을까요? 괜찮다면 얼마씩 나눠서 넣으면 좋을까요?-->주거래가 하나은행이어서 다 하나은행으로 해도 될까요?책 내용대로 5년안에 1억을 만들면 참 좋겠습니다만..

말씀하신 상황을 정리해보면, 월급 200만 원으로 고금리 적금, 청년도약계좌, 주택청약드림통장 3곳에 나눠 넣어 5년 안에 1억 목표를 세우고 싶으신 거군요. 현실적으로 어떻게 배분하면 좋을지, 장단점과 전략을 함께 안내드릴게요.

1. 기본 가정

  • 월급: 200만 원

  • 목표: 5년 안에 1억

  • 예금/적금:

  • 고금리 정기적금(세전 3.5%)

  • 청년도약계좌(월 최대 70만 원, 정부매칭 있음)

  • 주택청약드림통장

포인트:

  • 5년 안에 1억을 만들려면 단순 계산으로 매월 160~170만 원 정도를 꾸준히 저축해야 합니다.

  • 월급 200만 원에서 160만 원씩 저축은 생활비를 거의 쓸 수 없는 수준이므로, 현실적인 목표 조정 필요.

  • 따라서 “3분할” 전략은 좋지만, 비율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적금별 특징

적금 종류

장점

주의점

고금리 정기적금

금리 높음, 안정적

1년 이상 가입 시 최대 이자 가능. 중도해지 시 손실

청년도약계좌

정부 매칭 지원(6~12%), 세제혜택

월 납입 한도 있음, 최소 3년 이상 유지 권장

주택청약드림통장

청약자격, 소액으로도 주택청약 가능

이자율 낮음, 단순 저축 목적

3. 추천 월 배분 (예시)

월급 200만 원 기준, 생활비 최소 50~60만 원 남긴다고 가정:

적금

월 납입액

청년도약계좌

70만 원 (한도 최대)

고금리 적금

50만 원

주택청약드림통장

30만 원

총 저축

150만 원

생활비

50만 원

4. 적금 기간 선택

  • 1년 vs 6개월:

  • 금리 측면에서는 1년 정기적금이 유리

  • 6개월은 금리가 거의 의미 없고, 생활비에 따라 유동성 확보용으로만 추천

  • 자유적금으로 해도 되지만, 고금리 적금처럼 세전 3.5%를 노리려면 정기적금이 낫습니다.

5. 은행 선택

  • 주거래 은행이 하나은행이면 모두 하나은행으로 진행해도 문제 없음

  • 단, 상품별 금리·혜택 비교는 꼭 필요

  • 다른 은행이 고금리/정부지원 적용이 더 유리하면 해당 은행에서 가입 가능

6. 전략 요약

  1.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 우선순위 최상

  2. 고금리 정기적금 50~60만 원 → 1년 단위로 쌓기

  3. 주택청약드림통장 30만 원 → 장기 저축 목적

  4. 생활비 최소 확보 → 50만 원 이상

  5. 5년 1억 목표는 현실적으로 월 150만 원 정도 저축으로 5년이면 약 9,000~9,500만 원, 정부 매칭·이자 합치면 1억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