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바다물때 좀 알려주세요. 바다물때 좋은물때랑 안좋은물때 구별해서 부탁드립니다.

바다물때 좋은물때랑 안좋은물때 구별해서 부탁드립니다.

바다의 물때는 마치 지구가 달에게 보내는 고백처럼,

**달의 인력에 따라 정기적으로 밀물(만조)과 썰물(간조)**이 반복되는 자연의 리듬입니다.

이 리듬은 해루질, 낚시, 갯벌 체험, 조개잡이에 모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은 물때 vs 안 좋은 물때를 알아두면 바다를 훨씬 똑똑하게 즐길 수 있어요.

✅ 좋은 물때 (사리물때)

→ 물이 가장 많이 들어오고, 가장 많이 빠지는 시기

즉, 조차(물 높이 차이)가 큰 시기예요.

• 언제?

• 음력 보름(15일)

• 음력 그믐(1일) 전후 2~3일

• 이때를 **“사리물때”**라고 합니다.

• 왜 좋을까?

• 물이 많이 빠지므로 갯벌이 넓게 드러나고 해산물이 많이 나옴

• 물고기들의 활동도 활발 → 낚시 성공률 UP

• 추천 활동:

• 해루질, 조개잡이, 갯벌 체험, 낚시

❎ 안 좋은 물때 (무늬물때)

→ 물이 거의 움직이지 않는 시기, 즉 조차가 작은 날이에요.

• 언제?

• 음력 7~8일, 22~23일쯤

• 이 시기를 “무늬물때” 또는 **“죽은 물때”**라고 해요.

• 왜 안 좋을까?

• 물이 거의 들어오지도, 빠지지도 않음

• 갯벌도 덜 드러나고, 물고기들도 움직임이 적어요

• 주의할 점:

• 해루질/갯벌 체험은 거의 불가능

• 낚시도 고기 입질이 줄어들어요

기억하기 쉬운 공식

• 사리물때 = 왕성한 활동의 시기 = GOOD!

• 무늬물때 = 조용한 휴식의 시기 = NOT IDEAL

실전 팁

• 간조(물이 가장 빠지는 시점) 전후 2시간이 해루질이나 조개잡이에 최고예요.

• 낚시는 물 흐름이 시작되거나 바뀌는 시점(물돌이) 전후가 황금타임입니다.

• ‘국립해양조사원 물때표’ 사이트 또는 ‘물때앱’을 활용해 날짜별 간조/만조 시간 꼭 확인하세요!

더 원하신다면 지역을 알려주시면

이번 주간 지역별 물때표도 뽑아드릴게요.

채택을 해주시면 질문자에게는 내공의 50%가 돌아가며, 받은 내공 전액은 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