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기본 개념
먼저 매칭지원금(사회복귀준비금)의 주요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하고 만기 해지할 경우, 납입한 원리금(원금 + 은행이자)에 대해 정부가 일정 비율을 “매칭”하여 돈을 추가 지급함.
매년 납입 금액에 따라 매칭비율이 다르고, 최근에는 ’24년부터는 100% 비율 적용이 예정/시행 중이라는 공지가 있어요.
만기 해지 시 제출해야 할 서류(전역증, 병적증명서 등) 있고, 계좌 및 가입 조건 등이 적격해야 매칭지원금이 지급됨.
⚠️ 한 번 납입 못 했을 때 영향 여부
“1회 30만원을 못 넣었다”는 경우의 영향을 예측해 보면:
매칭지원금 계산은 “실제 납입한 금액” 기준이에요. 못 낸 회차는 원금이 빠지니까 그 회차 원금 + 이자 부분 + 매칭지원금 산정에 포함이 안 돼요. 즉, 전체 매칭지원금에서 조금 금액이 줄어들게 되겠죠.
하지만 “1회 못 넣었다”고 해서 매칭지원금을 아예 못주거나 무조건 박탈되는 건 아니에요. 제도 조항들을 보면 “만기까지 납입 유지 / 적격조건 충족”이 중요한데, 일부 회차 누락만으로 전체 지원 자격 상실이라는 조항은 없어요
예시로 대략 계산해보기
예를 들어서 간단히 시나리오를 가정해볼게요:
월 납입액 30만원, 복무기간 18개월
은행 이자율 + 기타 조건들은 단순화하여 계산
한 회 30만원 안 넣었다 → 그러면 납입 횟수가 17회만 완납한 셈
대략적인 원금 계산:
원금: 30만원 × 17회 = 510만원
매칭지원금 비율이 예컨대 100%라면 (’24년 이후 조건이라면) → 매칭지원금 약 510만원 예상됨
은행이자랑 기타 지원금(예: 1% 이자지원금 등) 있으면 그만큼 더 플러스되겠고요.
만약 100% 매칭이 아니라 예전 연도의 비율 적용이면 (예: 71%라면) → 약 510만 × 0.71 = 약 362만원 정도 예상 가능.
단, 실제 지급될 금액은 은행 이자율, 실제 납입 날짜, 제출서류, 계좌 상태, 만기 유지 여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 신청 절차 & 주의사항
매칭지원금은 만기 해지할 때 자동으로 지급되는 건 아니고, 만기 해지 후 필요한 서류를 은행에 제출해야 정부 또는 병무청 / 국군재정관리단에서 지급을 해요.
예: 전역증 또는 병적증명서, 복무사실 확인서 중 하나.
계좌 유지 상태, 적금 만기 해지 조건, 병역법 등의 제도 변경 여부도 확인 필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