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넣기 시작했고 70만원 넣었는데 9월 월급이 좀 적게 나온데다 의료비 명목으로 돈이 좀 많이 나가서 70 넣으면 너무 빠듯할 거 같아 혹시나 해서 여쭙습니다. 최대 70 납입 가능이라면 그 이하로 넣어도 괜찮은걸까요ㅠ.ㅜ?
안녕하세요. 청년도약계좌에 매달 70만 원씩 넣는 것이 빠듯해져서 많이 고민되시고 걱정되시겠어요. 갑작스러운 의료비 지출은 정말 큰 부담이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청년도약계좌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서 70만 원을 꽉 채우지 않아도 불이익은 전혀 없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납입 규정 상세 안내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1,000원부터 70만 원까지 원하는 금액만큼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납입 금액 유동성: 월급이나 지출 상황에 따라 이번 달에는 5만 원만 넣고, 다음 달에 여유가 생기면 70만 원을 넣는 식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정부 기여금: 납입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달라집니다. 납입 금액이 적으면 그만큼 정부 기여금도 줄어들지만, 최대 금액을 넣지 않았다고 해서 페널티를 받거나 계좌가 해지되는 일은 없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장기적인 관점: 이 상품의 목적은 꾸준히 저축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두 달 최대 금액을 못 넣는 것보다, 자신의 상황에 맞춰 꾸준히 소액이라도 저축을 이어나가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번 달은 무리해서 70만 원을 넣기보다는, 질문자님의 상황에 맞춰 부담되지 않는 선에서 납입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5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저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