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진왜란 발생 배경 조선은 봉당정치로 국정 운영이 혼란했고, 전쟁 준비도 미흡했다. 일본은 전국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 조선통신사를 보내 명 정복 길을 열려 했으나 상반된 보고로 조선 조정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2) 임진왜란 전개 과정 1592년 4월,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선조가 다스리던 조선을 침략하였다. 일본군은 부산에 상륙해 빠르게 북상하며 충주와 한양을 차례로 점령하고, 평양까지 진격했다. 결국 조정은 의주까지 피난하였다. 그러나 조선과 명의 연합군이 형성되어 반격을 시작하였고, 일본의 수륙병진작전은 좌절되었다. 이어 1597년 경유재란이 다시 일어났으나, 일본은 노량해전에서 크게 패하며 결국 철수하였다.3) 수군과 의병의 활약 이순신은 옥포 해전, 한산도 해전에서 학익진 전법을 활용해 일본 수군을 격파하고 노량해전에서 끝까지 싸웠다. 육지에서는 경상도 의령 출신 곽재우가 홍의장군으로 불리며 게릴라 전법을 사용해 일본군을 크게 괴롭혀 민심을 지탱했다.4) 왜란 이후 동아시아의 정세 변화 임진왜란 후 명은 전쟁으로 국력이 쇠약해지고 여진족 세력이 확대되었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정권이 붕괴하고,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잡아 에도막부를 열어 평화 체제를 구축하였다.
나머지 내용들은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