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서류는 다 제출한 상태인데 2023년도에 제가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660만원정도 소득이 있었는데, 이제 거기서 일을 안한다는 증명을 해야 한다고 해서요.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진행하시면서 서류 문제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사실 대출은 자격 요건만 충족하면 어렵지 않게 진행되지만, 프리랜서·사업소득 이력이 있으면 은행이 “현재도 해당 소득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꼭 확인하려고 합니다. 질문자님처럼 2023년에 약 660만 원 소득이 있었고, 지금은 그 일을 그만둔 상태라면 “현재 소득 없음”을 증명해야 심사가 통과됩니다.

은행이 요구하는 서류는 보통 2가지 방식이에요.

1. 폐업사실증명원: 만약 프리랜서로 사업자등록을 내고 일하셨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폐업 처리 완료” 사실이 찍혀 있으면 추가 소득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2. 사실확인서/소득 없음 확인서: 사업자 등록이 없었던 단순 프리랜서라면, 은행이 제공하는 사실확인서 양식을 작성해야 합니다. “○○년 ○월 이후 프리랜서 활동을 중단했고, 현재 소득 없음”을 자필 서명으로 기재합니다. 일부 은행은 이 과정에서 **국세청 소득금액증명원(최근 1년)**도 같이 요구해서, 신고된 소득이 더 이상 없다는 걸 확인합니다.

정리하면:

사업자 등록이 있었음 → 폐업사실증명원 제출

사업자 등록 없이 용역/건바이건 프리랜서 → 은행 양식 ‘사실확인서’ + 소득금액증명원

추가 팁을 드리면, 최근에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때문에 은행이 꼼꼼히 보는 편이라, 혹시라도 아르바이트·단기 용역 등 소액 지급 내역이 잡히면 추가로 설명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도 “정규 소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사실확인서로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아요.

결론적으로, 질문자님은 2023년 프리랜서 소득이 지금은 끊겼다는 걸 증명해야 하니 사실확인서(은행 양식)와 함께 최근 소득금액증명원을 제출하시면 가장 깔끔합니다.

더 자세한 준비 서류와 절차는 아래 가이드 참고해 보세요.

✔️ 아파트·전세대출 청년 가이드

✔️ 전세보증보험·버팀목 대출 조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