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직장에 4월부터 종사하고 있습니다.사대보험 직장가입자로 되어있고 월 세후 300 세전 340 입니다보수월액 기준이 2천만원으로 되어있고 건보료 미납고지서 및 압류 고지서가 날라와서 지사로 방문해보니 내라는 소리만 하고 답답해서 여쭙습니다. 세대주인 아버지 밑으로 들어가있고 직장가입자인데 건보료 산정이 어떻게 이렇게 된 것인지, 또한 이걸 무조건 다 내야 하는 건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고수님들 ㅜㅜ 방문해서 물어보면 다 똑같은 답변 뿐이네요 ㅠㅠㅠ

안녕하세요~

직장가입자인데도 건강보험료 미납 고지서 때문에 답답하시겠어요.

저도 예전에 가족 밑으로 들어가 있다가 직장 가입 전환될 때 비슷한 일을 겪어서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제 경험상 상황을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1. 1. 직장가입자 보험료: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합니다. 질문자님 월급(세전 340만 원 기준)이라면 매달 약 12만~13만 원 정도가 급여에서 자동 공제됩니다.

  2. 2. 미납 고지서 사유: 직장가입 전까지 지역가입자로 잡혀 있던 기간의 보험료가 남아 있거나, 세대주(아버지) 밑에 있던 지역보험료가 함께 부과된 것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직장 전환이 되었더라도 과거 미납분은 따로 납부해야 한다고 안내가 나옵니다.

  3. 3. 압류 고지서까지 온 경우: 단순 착오인지 실제 미납인지 먼저 확인이 필요합니다. 건보공단 지사에서 “자격 취득일(직장가입 전환일)”을 기준으로 지역보험료 정산을 다시 해달라고 요청하세요. 자격취득일 이전분은 납부 의무가 있을 수 있지만, 이후분은 소급 조정이 가능합니다.

  4. 4. 무조건 내야 하는지 여부: 직장가입자로 전환된 시점 이후의 고지라면 정정 요청으로 취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직장 전환 전(예: 3월까지) 지역보험료는 실제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고지서 전체를 무조건 낼 필요는 없고, 직장가입 전환일 기준으로 정산 요청을 하시는 게 우선입니다. 지사에 가셔서 “자격 취득일 기준 정정 및 지역보험료 소급조정”을 꼭 말씀해 보세요.

제가 작성한 사이트에서 관련 내용을 일부 가져왔습니다. 이어지는 실제 정정 방법은 블로그에서 보시면 더 도움 되실 거예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직장가입자인데도 건강보험료 미납 고지서?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image
직장가입자인데도 건강보험료 미납 고지서? 원인과 해결법 총정리

“나는 분명 직장가입자인데 왜 건강보험료 미납 고지서가 날아오지?”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헷갈릴 수 있는 부분입니다. 특히 직장가입 전 지역가입자였거나, 세대주(부모님) 밑으로 들어가 있었던 경우 더 혼란스러울 수 있죠.오늘은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미납 고지서가 왜 오는지, 무조건 내야 하는지, 해결 방법은 무엇인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 어떻게 부과되나요?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세전 월급이 340만 원이라면:월 보험료 총액: 약 24만 원대근로...

will.blesslife107.com

질문자님의 건보료 문제가 깔끔히 정리되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https://naver.me/5PlBawe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