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은행 전세대출(맞춤청년)**을 사용 중이고, 12월 말 만기이면서 새로운 전세집(보증금 1억5천)에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지원(또는 유사 공공보증 전세대출)**로 갈아타고 싶으신 거죠?
전세대출은 일반 신용대출과 달리 **기존 대출을 유지한 상태로 새로운 집으로 바로 갈아타는 것(이사)**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존 집 계약 해지·이사 일정·대출신청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1️⃣ 갈아타기(대환) 기본 구조
기존 전세대출: 지금 집 전세보증금 7천만원에 맞춰 실행된 대출.
신규 전세대출: 새 집 전세보증금 1억5천만원에 맞춰 실행될 예정.
전세대출은 **집 주소(임차주택)**가 대출조건이므로, 집을 바꾸면 대출도 새로 실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신규 전세대출 실행 → 기존 대출 상환 순으로 진행돼요.
2️⃣ 진행 순서 (실무)
새로운 집 계약서 작성
집주인·보증금·전입일자·확정일자 확인
집주인 동의(대출용 서류) 미리 요청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지원(또는 해당 상품) 신청
은행에 ‘대환(갈아타기) + 증액’으로 신청한다고 말하기
준비서류: 기존 전세계약서, 해지 예정 확인서, 새 전세계약서, 신분증, 소득·재직서류 등
은행에서 기존 대출 상환·신규 대출 동시 처리
통상 신규 대출금이 먼저 집주인 계좌로 지급되고,
기존 전세대출이 상환 처리됨(은행이 자동으로 처리).
이사 및 전입신고, 확정일자
신규집 전입신고·확정일자 받아야 지원금 및 이율 혜택 적용
3️⃣ 포인트
기존 대출 중도상환수수료 없음 (대부분 전세대출은 없음)
집주인 계좌 확인 필수 (신규 집주인에게 바로 입금됨)
보증보험 가입여부 확인 (HUG·SGI·서울보증 중 어느 기관인지)
대출 실행 시점은 이사/잔금일에 맞춰야 함
4️⃣ 준비서류(일반적)
신분증
기존 전세계약서 및 해지 예정 확인서
새 전세계약서
주민등록등본(세대주·세대원 확인용)
소득·재직 증빙서류(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등)
임대인의 주민등록증 사본, 등기부등본, 통장사본(집주인 계좌)
5️⃣ 팁
은행 담당자에게 “전세대출 갈아타기(대환) & 증액”이라고 명확히 말하면 처리 속도가 빠릅니다.
신규 대출 실행일 = 이사일·잔금일로 맞춰두면 서류·보증보험 처리 깔끔하게 끝나요.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지원상품은 은행별 취급 조건이 다르므로 신청 전 은행 상담 예약 추천.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은 네티켓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