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중3여자고 하고 싶은게 없어요제가 그림이나 체육 쪽을 잘하긴하는데 사실 그림은그렇게까지 특출난건 아니고 평타 이상?이걸로 제가 성공항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인문계 가면 어중간한 애들은 다 깔아주는거라던데 제가 좀 어중간하거듬오ㅠㅠ 그리고 다른 직업들 보면 흥미가 다 없어요ㅠ 저만 너무 막 사는거 같은데 다들 진로 어떻게 찾으셨어요?ㅠㅠ

그 마음, 정말 잘 이해돼요.

“난 뭘 잘하지?”, “이걸로 먹고 살 수 있을까?”, “남들은 다 뚜렷한 목표가 있는 것 같은데 나만 멍한가?”

이런 고민은 진짜 많은 중3들이 겪는 거예요. 혼자만 그런 거 절대 아니에요.

✋ 우선, "어중간한 나"라는 말부터 잠깐 멈춰볼까?

지금 말한 “그림은 평타 이상, 체육도 잘한다”는 건

평균보다는 확실히 위라는 거예요.

그런데 이걸 “특출나진 않아서 안 될 거 같아” 라고 단정지으면

나를 계속 작게 만들게 돼요.

진짜로 그림 잘 그리는 애들도

“난 평범한데?”라고 생각하면서 망설이는 경우 많고,

처음엔 어중간했지만 계속 그려서

웹툰 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 게임 원화가 된 사람도 많아요.

❓ 하고 싶은 게 없다는 건 무기력이 아니라 가능성이에요

“나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라는 건

사실은 아직 내가 좋아할 수 있는 걸 충분히 경험 못 해봤다는 뜻이에요.

학교라는 틀 안에서 경험할 수 있는 건 정말 제한적이에요.

그림, 체육… 그 외에 수십 가지 가능성은

아직 경험조차 못 했을 수 있어요.

그래서 하고 싶은 게 없는 지금은

**"정상"이고 "시작점"**이에요.

성공한 사람들도 중학교 때는 다 몰랐어요.

진로를 어떻게 찾았냐고요?

여기 진짜 사례 몇 가지 보여줄게요:

사람 상태 (중3~고1)

지금 하는 일

"나는 다 애매한데?"

미대 가서 UX디자이너 됨

"공부 싫고 수학 못해"

제과제빵 전공 후 카페 창업

"체육은 좋아하는데 애매함"

체육교육과 → 헬스트레이너

"예체능인데 부모 반대"

영상 편집 배워 유튜버 됨

"진로 없음"

방황하다가 심리학과 진학

지금 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언

  1. "나는 뭘 잘할까?" 말고, "뭘 해보면 재밌을까?"로 바꿔보기

  • 진로는 “잘하는 거”보다 “계속 할 수 있는 거”가 중요해요.

  1. 그림이나 체육, 둘 중 하나라도 좀 더 깊게 파보기

  • 예: 만화체나 캐릭터 디자인? 스포츠 심리? 물리치료?

  • 의외로 그 속에서 “이건 재밌다” 싶은 게 나올 수 있어요.

  1. 인문계 무서워하지 말기

  • 어중간해도 대부분은 어중간해요

  • → 그래서 고등학교는 "탐색기"고,

  • 대학/직업계가 “진짜 방향 찾는 곳”이에요.

  1. 기록 남기기

  • 오늘처럼 고민한 거, 흥미 생긴 거, 짜증난 거

  • → 나중에 보면, 내가 뭘 원하고 있었는지 실마리가 보여요.

마지막으로, 꼭 기억해줘요

  • 너만 막 사는 게 아니에요.

  • 하고 싶은 게 없다고 해서 실패한 게 아니에요.

  • 어중간한 지금의 나도, 언젠가는 분명 방향을 잡게 돼요.

  • 지금은 그걸 찾아가는 과정 중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