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육아휴직 (6+6) 아이는 2024년 7월15일생입니다.출산휴가 2024년10월까지 쓰고 회사가 급하다고해서 3개월(2025년1월)을 쓰고 복직했습니다.그후

아이는 2024년 7월15일생입니다.출산휴가 2024년10월까지 쓰고 회사가 급하다고해서 3개월(2025년1월)을 쓰고 복직했습니다.그후 신랑이 4월부터 6개월 육아휴직을 사용하고있습니다.(2025.4-2025.9)1. 지금까지(6월, 3개월)는 6+6을 적용해서 급여를 받았는데제가 3개월만썼으니 그 후부터는 일반육아휴직처럼 받나요?2. 제가 이어서 10월부터 12월(딱18개월끝나기 직전)까지 육아휴직을 쓰면 그땐 6+6 육아휴직은 적용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육아휴직 6+6 제도 관련해서 궁금하신 부분 정리해드릴게요

  1. 지금까지 아기 생후 18개월 이내에 부모 순차 사용 조건(아빠가 4월~9월 사용 포함)을 충족하셨기 때문에

  2. → 첫 6개월(엄마 3개월 + 아빠 3개월 또는 아빠 4개월 포함) 모두 **6+6 특례 급여(상한 최대 450만원까지)**가 적용됩니다

  3. 현재까지 엄마가 3개월 사용하셨으니, 이미 6+6 제도에 해당하는 엄마의 첫 3개월을 채운 상태입니다.

  4. 이후 엄마께서 10월부터 12월까지 이어서 육아휴직을 사용하신다면

  5. → 7개월차 이후 일반 육아휴직 급여 기준이 적용되며,

  6. → 통상임금의 80%, 월 최대 160만원 상한에 따라 급여를 받게 됩니다

  7. 참고로 6+6 특례는 부모 각각 ‘최초 육아휴직 6개월 내’의 급여 인상 혜택으로,

  8. → 이미 엄마 3개월, 아빠 4개월 사용한 경우 아빠는 나머지 2개월, 엄마에게는 특례의 추가 인상 혜택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 엄마 3개월 + 아빠 3개월 = 양쪽 6개월 특례 급여

  • 이후에는 엄마도 일반 육아휴직 급여 조건으로 돌아가시게 됩니다.

추가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도와드릴게요!

image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신청방법 총정리|신청 조건부터 금액까지 한눈에!

여러분! 육아휴직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특히 출산 후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육아휴직을 선택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신청 절차가 어렵거나 복잡하다고 느껴져 주저하신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육아휴직 급여를 빠르게 신청하는 방법을 아주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이 글 하나면 누구든지 손쉽게 신청 가능하답니다 “육아휴직은 선택이 아니라 권리입니다. 제대로 알고 제대로 누리세요!”“놓치면 후회하는 육아휴직 급여, 오늘 바로 신청해보세요!”“복잡한 절차? 걱정 마세요. ...

nmhealth.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