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스포츠 재활학과 미국 취업 대학을 스포츠재활학과나 스포츠전술 쪽으로 가고 싶은데 미국에서 취업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대학을 스포츠재활학과나 스포츠전술 쪽으로 가고 싶은데 미국에서 취업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방법이 궁금합니다

스포츠 재활학과 또는 스포츠 전술 분야로 미국 취업을 고려하고 계시는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네, 미국 취업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특정 전문직군에 해당하고 외국인으로서 비자 취득이 필요하므로, 국내 취업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전문적인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1. 스포츠 재활 분야 (Athletic Trainer, Physical Therapist)

'스포츠 재활'은 미국에서 주로 Athletic Trainer (AT) 또는 Physical Therapist (PT) 두 가지 직업군으로 나뉩니다. 두 직업 모두 선수들의 부상 예방, 응급 처치, 재활 및 컨디셔닝 관리를 담당하지만, 역할과 요구되는 학위 및 면허가 다릅니다.

  • *Athletic Trainer (AT):

  • -역할: 급성 부상 현장 처치, 부상 예방 프로그램, 재활 프로그램 설계 및 관리, 컨디셔닝, 의사와의 협업 등을 담당합니다. 주로 스포츠 팀, 학교, 병원, 클리닉 등에서 활동합니다.

  • -미국 자격 요건:

  • .석사 학위 필수: 2022년부터 미국에서 Athletic Trainer가 되려면 CAATE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Athletic Training Education) 인증을 받은 석사(Master's) 학위 프로그램을 졸업해야 합니다.

  • .BOC (Board of Certification) 시험 합격: 졸업 후 BOC에서 주관하는 자격 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 .주(State) 면허 취득: 대부분의 주에서 AT로 활동하려면 해당 주에서 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 -외국인 취업: 외국인이 미국에서 AT가 되려면, 위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미국 내 석사 과정을 이수하고, BOC 시험에 합격한 뒤 해당 주 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그 후에는 취업 비자(H-1B, O-1, P-1S 등)를 스폰서해 줄 고용주를 찾아야 합니다. 전문직이므로 H-1B 비자 취득 가능성이 있으나, 경쟁이 치열합니다.

  • *Physical Therapist (PT - 물리치료사):

  • -역할: 광범위한 환자의 재활(스포츠 부상 포함), 만성 통증 관리, 기능 회복 등을 담당합니다. 주로 병원, 재활 클리닉, 개인 병원 등에서 활동합니다.

  • -미국 자격 요건:

  • .박사 학위 필수 (DPT - Doctor of Physical Therapy): 미국에서 물리치료사가 되려면 DPT 학위가 필수입니다. 한국에서 관련 학사/석사 학위가 있더라도, 미국 기준에 맞는 선수 과목 이수 및 DPT 프로그램 졸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NPTE (National Physical Therapy Examination) 시험 합격: DPT 졸업 후 NPTE 시험에 합격해야 합니다.

  • .주(State) 면허 취득: AT와 마찬가지로 주 면허를 취득해야 합니다.

  • -외국인 취업: 외국인이 미국에서 PT가 되려면 DPT 학위 취득, NPTE 합격, 주 면허 취득 후 취업 비자를 받아야 합니다. PT는 전문직으로 인정받아 H-1B 비자 취득에 유리한 편이지만, 과정 자체가 매우 길고 어렵습니다.

2. 스포츠 전술/데이터 분석 분야 (Sports Performance Analyst / Data Analyst)

이 분야는 최근 스포츠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데이터 과학, 통계학, 스포츠 과학 지식을 요구합니다.

  • -역할: 선수 및 팀의 경기 데이터 분석, 전략 수립 지원, 경기력 향상을 위한 인사이트 도출, 비디오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프로 스포츠 구단, 스포츠 데이터 분석 회사, 스포츠 미디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 -요구 역량:

  • .관련 학위: 스포츠 과학, 통계학, 컴퓨터 과학, 데이터 과학, 경영학 등의 학사 또는 석사 학위가 필요합니다. 석사 학위가 유리합니다.

  • .데이터 분석 기술: SAS, R, Python 등 데이터 분석 툴 활용 능력, 통계 지식, 데이터 시각화 능력(Tableau 등)이 중요합니다.

  • .스포츠에 대한 깊은 이해: 해당 스포츠 종목에 대한 전술적, 기술적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 .영어 능력: 미국 현지에서 소통하고 자료를 분석해야 하므로 유창한 영어 능력이 필수입니다.

  • -외국인 취업: 데이터 분석가는 미국에서 수요가 높은 직군이므로, 관련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갖춘다면 취업 기회가 있습니다. 주로 H-1B 비자를 통해 취업할 수 있습니다. 경력과 전문성에 따라 연봉 수준도 높을 수 있습니다. (초급 $50,000~$65,000, 중급 $75,000~$150,000, 고급 $200,000 이상)

*미국 취업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 (외국인 기준)

  1. 1.학위 취득 (필수): 미국 내 대학에서 관련 학위(특히 석사 이상)를 취득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미국에서 공부하며 인턴십 등으로 현지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습니다.

  • F-1 학생 비자를 통해 학위를 취득하고, 졸업 후에는 OPT (Optional Practical Training) 제도를 통해 해당 분야에서 일정 기간 (일반적으로 12개월, STEM 분야는 최대 36개월) 합법적으로 취업하여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스포츠 재활은 STEM으로 분류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나, 스포츠 데이터 분석은 STEM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1. 2.전문 자격증 취득: 해당 직업군에 필요한 미국 내 공인 자격증(AT의 BOC, PT의 NPTE)을 반드시 취득해야 합니다.

  2. 3.네트워킹 및 인턴십: 미국에서 학위 과정을 밟는 동안 관련 분야 인턴십을 적극적으로 찾아 경험을 쌓고 인맥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졸업 후 취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3. 4.취업 비자 확보: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취업 비자(대표적으로 H-1B)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H-1B 비자는 전문직을 위한 비자로, 고용주가 스폰서해야 하며 매년 추첨을 통해 선발되기 때문에 경쟁률이 매우 높습니다.

  • - O-1 (특별 재능 비자): 해당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탁월한 능력'을 보유한 경우 신청할 수 있는 비자입니다. 이 분야에서 높은 경력과 명성을 쌓는다면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 P-1S (스포츠 보조 스태프 비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운동선수(P-1A 비자 소지자)의 필수 지원 인력(코치, 트레이너 등)에게 발급되는 비자입니다. 특정 선수나 팀과의 계약이 필요합니다.

  1. 5. 영어 능력: 비즈니스 수준의 유창한 영어는 필수입니다.

*조언

미국에서 스포츠 재활/전술 분야로 취업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은 길이지만,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먼저 어떤 직업을 목표로 할지 명확히 하세요. (Athletic Trainer vs. Physical Therapist vs. Sports Analyst) 각각 요구되는 학위와 자격이 매우 다릅니다.

  • -미국 유학을 통한 현지 학위 취득이 가장 현실적인 첫 단계가 될 것입니다.

  • -미국 이민 전문 변호사와 상담하여 비자 옵션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포츠 분야에 대한 열정이 있으시다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