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로계약 종료의 법적 효력
즉시 퇴사 가능:
근로자가 "사직의사 명확히 통보" 한 경우, 별도의 동의 없이도 근로관계는 종료됩니다.
사장님이 읽씹한 행위는 "묵시적 수리" 로 간주되며, 추가 출근 의무는 없습니다.
고용노동부 규정:
2. 미지급 임금 청구 절차
(1) 1일분 임금 지급 요건
구분 | 내용 |
법적 근거 | 근로기준법 제36조: 1일 근무 시 최저시급(2025년 11,740원) 이상 지급 의무 |
청구 방법 | 문자·카톡 기록 + CCTV 영상시간 증명 → 근로감독관 신고 (신고 후 10일 이내 처리) |
주의사항 | 사장님이 미지급 시 500만원 이하 벌금 (노동위원회 조정 가능) |
(2) 쉬는 시간 미보상 추가 청구
5시간 이상 근무 시 30분 휴게시간 필수 미제공 → 1시간 추가 임금 청구권 발생.
예시: 7.5시간 근무 시 미휴게 → 8시간분 임금 요구 가능.
3. 사장님 읽씹 대응 전략
MERMAID 预览 Code graph TB A[읽씹 상태 확인] --> B{3영업일 내 답변 없음?} B -->|Yes| C[노동위원회 진정 접수] B -->|No| D[사직 확인 요청 재전송] C --> E[2주 내 조정 회의 개최] E --> F[임금+위약금 지급 결정] |
⚠️ 4. 출근 관련 주의사항
월요일 미출근 시 리스크:
무단 결근 처리될 경우 "퇴직금 계산에서 제외" 가능성 있으나, 사전 사직 통보로 무효.
사장님의 반강제 출근 요구 시 → "노동착취 신고 중"이라고 통보 (☎ 노동위원회 1350 긴급조언 권장).
최종 실행 체크리스트
근무 기록 확보
카톡 사직 통보 화면 캡처
CCTV 기록 존재 확인 (매장 주소지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 보존 요청)
7월 7일 18:00까지
답변 없을 시 고객상담센터 → "온라인 진정" 접수
임금 지급 시
반드시 "퇴직금 아닌 일당" 으로 입금받을 것 (추후 분쟁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