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칭지원금 산정 기준
21~22년도: 매칭지원금은 원리금(원금+이자)의 33%로 지급되었습니다.
23년도: 매칭지원금이 원리금의 71%로 상향되었습니다.
24년도 이후: 매칭지원금이 원리금의 100%로 확대되었습니다.
즉, 입대 시점과 납입 시점에 따라 적용되는 매칭지원금 비율이 다릅니다.
2. 실제 사례 계산
질문자님의 경우
21년 7월 입대, 23년 1월 전역
훈련소에서 IBK, 국민은행 각각 20만 원씩(총 40만 원) 적금 가입
총 18개월 복무(월 40만 원 × 18개월 = 720만 원 원금 예상)
매칭지원금 적용 방식
21~22년도 납입분: 33%
23년도 납입분: 71%
질문자님은 대부분의 납입 기간이 21~22년이므로, 매칭지원금은 33%가 적용됩니다.
3. 실제 수령 금액 확인
원금: 약 720만 원
은행이자: 약 28만 원(연 5% 기준, 실제 이자율과 납입 기간에 따라 변동)
매칭지원금: (원금 + 이자)의 33% = 246만 원(예시: 720만 + 28만 = 748만 × 33% = 246만 원)
하지만 실제로 매칭지원금 817,170원이 입금된 것을 확인하셨습니다.
왜 817,170원인가?
질문자님의 경우, 각 은행별로 20만 원씩 2개 계좌(총 40만 원)를 가입하셨으나, 각 은행별로 매칭지원금이 따로 계산되어 지급됩니다.
817,170원은 한 계좌(20만 원씩 납입)의 매칭지원금으로 보이며, 두 계좌를 합치면 약 163만 원이 됩니다.
33% 비율로 계산 시:
한 계좌 원금(20만 × 18개월 = 360만 원) + 이자(약 14만 원) = 374만 원 × 33% = 123만 원
실제 지급된 81만 원은, 납입 기간(실제 적금 유지 기간), 전역 시점, 이자율, 분기별 지급 정책 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결론
3:1 매칭지원금(33%)은 21~22년 적립분에 적용되는 것이 맞습니다.
23년 1월 전역자의 경우, 71% 비율은 적용되지 않고 33% 비율이 적용됩니다.
1000만 원 수령은 23년 1월 이후 전역자 중, 납입 기간 전체가 23년 이후(71% 또는 100%) 적용 대상에게 해당합니다.
질문자님이 받은 매칭지원금은 정상적으로 지급된 것으로 보입니다.
요약:
질문자님처럼 21~22년 입대, 23년 1월 전역자는 매칭지원금 33% 적용이 맞으며, 1000만 원가량 수령은 23년 이후 전역자(71% 또는 100% 적용)에게 해당합니다. 본인이 받은 금액이 정상입니다.
군적금 관련 기본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2025 장병내일준비적금 핵심 가이드✓ 2025년 최신 개정사항: 월 최대 납입한도 55만원 확대 • 정부 매칭지원금 100% 적용 • 비과세 혜택 유지▣ 군적금의 3대 핵심 혜택 정부 매칭지원금 100%: 월 55만원 적립시 1,320만원 추가 지원 최고 연 8% 금리 (은행별 상이)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공식 포털에서 바로 가입하기▣ 가입 자격 조건구분요건신분현역병/상근예비역/사회복무요원 등복무기간잔여 6개월 이상월 납입한도개인별 55만원 • 은행별 30만원▣ 주요 은행별 금리 비교하나은행연 7.5%신한은행연 8.0%부...
m.sit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