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생활형숙박시설(펜션) 계약미이행 점유권? 22년에 생활형숙박시설(수익형펜션) 1.4억에 분양계약을 했습니다.건물은 23년도 완공되어 개별등기를하고 대출을 이용해잔금을

22년에 생활형숙박시설(수익형펜션) 1.4억에 분양계약을 했습니다.건물은 23년도 완공되어 개별등기를하고 대출을 이용해잔금을 치루려고 하였으나 토지 및 건물에 가압류가 해결되지 않아 개별등기가 되지않아 임시조치로 법인대표의 허용하에 23년 7월부터 불법이지만 관리비만 내며 지금까지 주말주택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준공도 완료되고 사용승인도 난 상태이며 위탁운영으로영업중입니다)그런데 법인대표의 불법적인 행위로 가압류금액이더 늘어나 개별등기도 못하고 소유권주장도 못하는 상황이되었습니다.이럴때 23년도 부터 지금까지 저는 개인짐도 갔다놓고 주말별장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새로바뀐 법인대표가페션영업을 해야한다며 퇴거하거나나머지 잔금을 치루고 사용하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현재까지 분양대금의 80% 1억 정도 입금함)1. 이런상황에 짐을 빼지 않고 점유권을 행사할수 있나요?2. 점유권 행사가 가능하다면 강제로 제 집에들어와 제 짐을 빼면 주거침임 및 재물소괴로 신고 및 고소가 가능할까요?

1. 점유권 행사 가능성 및 법적 근거

(1) 현행 점유의 법적 성격

  • 불법점유 가능성

  • 건물 완공 및 사용승인은 완료되었으나 가압류 미해결로 개별등기 불가 → 등기 없는 상태에서의 점유는 "권원 없는 점유" 로 판단될 수 있음.

  • 계약상 권리 한계: 분양대금 80% 지급으로 계약 상 권리는 존재하나, 등기 부재 시 소유권 주장 불가 → "법인 대표 허용"은 임시조치일 뿐 법적 효력 미약.

  • 위험 요소: 가압류 금액 증가로 인해 등기 가능성 저하 → 현재 점유는 임시사용허락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음.

(2) 점유권 주장 조건

  • 민법 제192조(점유권) 적용 가능성:

  • 요건 충족 여부:

  • 선의성: 가압류 존재를 인지한 상태에서의 점유 → 선의 인정 어려움.

  • 계속성: 2023년 7월~현재까지 1년 이상 점유 → 기간 요건은 충족.

  • 자주성: 관리비 납부와 사용 사실 → 간접적 증거 가능.

  • 한계: 등기 없이 "관리비 납부"만으로는 소유권적 권리 미인정 → 점유권 행사는 가능하나 퇴거 요구에 대항하기 취약.

️ 2. 강제 거 시 법적 대응 가능성

(1) 주거침입/재물손괴 신고 요건

  • 주거침입죄(형법 제319조) 적용 조건:

  • 불법성 요건: 새 대표의 퇴거 요구가 법원 집행명령 없이 이루어진 경우 → "주거침입" 성립 가능.

  • 예외: 법인이 자기 재산에 대한 접근 → 위법성 조각 가능성 있음.

  • 재물손괴죄(형법 제366조):

  • 짐을 강제로 이동할 경우 "손괴"로 간주되지 않음 →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만 가능.

(2) 고소 성공 가능성 판단

구분

주거침입

재물손괴

비고

증명 난이도

중간

낮음

피해 물증 필요

대응 효과

일시적 제지

제한적

민사소송 병행 권장

리스크

법인 측 반소 가능

불법점유 인정 시 역고소 당할 수 있음

3. 권리 보존을 위한 실행 전략

(1) 현 상태 유지 시 필수 조치

  1. 점유 증거 강화:

  • 전기·수도 사용 내역, 관리비 영수증, 개인 물품 보관 사진 등 수집.

  1. 법인 대표와의 서면 합의:

  • "등기 완료 전까지 점유 허용" 내용의 각서 확보 → 일시적 권리 인정 근거.

  1. 가압류 상황 모니터링:

  • 관할 등기소 조회를 통한 가압류 금액·기간 확인 → 퇴거 압박 시점 예측.

(2) 적극적 권리 주장 방법

  • 청구권 보전 소송 제기:

  • 소유권 이전 청구소송: 가압류 해소 시 등기 의무 이행 요구.

  • 가압류 이의소송: 채무자(법인)의 재산 처분 허용 청구 → 등기 장애 해소.

  • 잔금 지급 조건 재협상:

  • "가압류 해소 시 잔금 완납" 조항 추가 → 계약 파기 방지.

4. 새 법인 대표 퇴거 요구 대응 절차

MERMAID

预览

Code

graph TB A[퇴거 통보 접수] --> B[서면 답변 발송] B --> C[점유 권원 증빙 자료 통지] C --> D{법인 측 반응} D -->|추가 압박| E[민사상 가처분 신청<br>-점유유지가처분] D -->|합의 시도| F[잔금 지급 조건 재협상] E --> G[법원 판결 전까지 현상 유지]

(1) 즉시 실행할 방어 조치

  • 공증된 내용증명 발송:

  • 법인 불법 행위 고발:

  • 가압류 상태에서의 위탁 운영 영업 → 부동산 거래 질서 위반으로 관할 관청(지방자치단체) 신고.

(2) 최악의 시나리오 대비

  • 강제 퇴거 당할 경우:

  • 경찰 신고 + 현장 사진 촬영 → 주거침입 증거 확보.

  • 임시 사용료 반환 소송: 1억 원 계약금에 대한 이자 청구.

✅ 종합 권고 사항

  1. 서류 확보 우선:

  • 분양계약서 "점유 허용 조항" 확인 → 없을 경우 즉시 보정 각서 요구.

  1. 법원 신청:

  • 가압류 해제 신청 또는 점유권 확인 소송 7일 이내 진행.

  1. 전문가 연계:

  • 부동산 소송 전문 변호사 상담 (☎대한변호사협회 02-567-9723).

  • 등기소 조회: 관할 등기소 방문해 가압류 내역 상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