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조아
광고
글쓰기
일자순
조회수순
은꼴 (6)
유머 (5)
asdasdasda (1)
ascas (1)
asdasdas (1)

고1인데 아무것도 하고 싶은게 없어요. 진로가 고민되요 어렸을때부터 딱히 하고 싶은게 없었는데 주변에선 꿈이 뭐냐, 대학은 어디

어렸을때부터 딱히 하고 싶은게 없었는데 주변에선 꿈이 뭐냐, 대학은 어디 갈거냐 물어 볼때마다 짜증이 났어요. 이제 고1이 되었고 진로에 대한 얘기는 더 자주 듣게 되는데, 이제 대학도 가야할거 같고, 진로를 정해야할 것 같은데 너무 막막해서 모르겠어요. 어디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렇게 용기 내어 마음을 털어놓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고1이라는 시기, 그 자체만으로도 많은 변화와 압박을 겪는 때인데, 진로에 대한 고민까지 더해지니 마음이 얼마나 무거울지 짐작이 됩니다.

어렸을 때부터 딱히 하고 싶은 게 없었다는 말, 그리고 주변에서 계속 꿈이 뭐냐고, 어느 대학 갈 거냐고 물어볼 때마다 짜증이 났다는 마음… 정말 공감됩니다. 그럴 수밖에 없어요. 아직 스스로도 어떤 걸 좋아하고, 어떤 길을 가고 싶은지 모르겠는데 계속해서 정답을 내놓으라고 재촉받는다면 그 질문 자체가 부담스럽고 답답하게 느껴지기 마련이에요.

요즘은 고등학교 1학년만 되어도 진로 계획서를 쓰고, 교과 선택을 하고, 비교과 활동까지 신경 써야 하니까 더 조급하고 막막하게 느껴지실 수 있어요. 하지만 제가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은, 하고 싶은 걸 모른다고 해서 실패한 것도 아니고, 정해진 꿈이 없다고 해서 문제 있는 것이 전혀 아니라는 점이에요.

사람마다 좋아하는 걸 찾는 속도는 다 달라요. 어떤 친구는 어릴 적부터 꾸준히 한 가지에 관심이 있을 수도 있고, 또 어떤 친구는 스무 살이 넘어서야 처음 '이게 내가 하고 싶은 일이구나' 하는 마음을 갖기도 해요. 중요한 건, 아직 아무것도 모르겠다는 마음도 자연스러운 '진로 탐색의 한 과정'이라는 거예요. 지금은 단지 ‘출발선’에 서 있는 시기일 뿐이에요.

혹시 이런 고민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나에게 맞는 방향을 함께 고민해줄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어떨까요?

진로에 대해 도움받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안내드릴게요.

  1. 1.학교 내 진로상담실 또는 상담 선생님

  2. 많은 고등학교에는 진로진학상담교사나 전문 상담 선생님이 계세요. 조용한 공간에서 지금의 고민을 이야기하고, 흥미검사나 진로적성검사도 받아보며 스스로를 알아가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탐색”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훨씬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어요.

  3. 2.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역별 운영)

  4. 예를 들어 **수원시에 거주하신다면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같은 공공기관이 있어요. 이곳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무료 심리상담, 진로 상담, 심리검사 등을 제공하고 있어요. 담당 선생님들이 또래 청소년들을 많이 만나시기 때문에, 지금 느끼는 막막함이나 불안감에 대해 공감하며 현실적인 조언도 해주실 수 있어요.

  5. 3.심리상담센터

  6. 혹시 좀 더 전문적인 개인 상담을 원하신다면 민간 상담기관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요. 이곳은 청소년들을 위한 심리상담 및 진로탐색, 자기이해 검사 등을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어요. 진로 자체보다 먼저 ‘나’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친구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상담 선생님들이 무조건 '어떤 직업을 해라'고 조언하기보다는, '어떤 성향을 가진 나에게 어떤 길이 잘 맞을까'를 함께 찾아주시는 방식으로 접근해 주세요.

  7. 4.진로적성검사·심리검사

  8. 자신이 어떤 성향인지, 어떤 활동에 흥미를 느끼는지 잘 모르겠을 때는 적성검사나 흥미검사를 통해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TRONG 직업흥미검사, Holland 진로탐색검사, MBTI 성격유형검사, 웩슬러지능검사 등 다양한 심리검사들이 있어요. 이런 검사를 통해 ‘내가 몰랐던 나’를 알아가는 시간이 되고, 그것이 진로의 방향을 정하는 데 힌트를 줄 수도 있답니다.

마지막으로 꼭 전하고 싶은 말이 있어요.

진로는 “정답을 맞히는 문제”가 아니라 “나만의 길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에요.

조금 늦어도 괜찮아요. 한 번에 찾지 못해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지금처럼 자신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도움을 찾으려는 용기를 내는 그 과정 그 자체가 진로 탐색의 시작이라는 거예요.

지금의 막막한 마음, 너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거니까 스스로를 탓하거나 조급해하지 마세요. 누군가와 함께 천천히 걸어가면, 분명히 ‘나에게 맞는 길’이 보일 거예요.

헬로스마일 수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