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호 변호사 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소비기한이 지난 구권(화폐, 상품권 등)을 판매한사기 피해 사례에 대해 도움을 받고자 하시는 상황임을 잘 이해하였습니다.신뢰를 저버린 거래로 분노와 허탈함이 크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 1. 소비기한 경과 구권 판매가 사기에 해당하는지
① 소비기한이 명시된 구권 상품권을 유효기간 뒤에 판매한 경우,법적으로 사기죄(형법 제347조) 또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② 판매자가 유효하지 않은 상품임을 알면서 정상 가격에 판매했다면,고의적 기망으로 인한 재산상 이득을 취한 정황으로 법적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③ 관련 판례에서도 피고가 객관적으로 사용 불가능한 상품권을 유통한 경우,허위 사실로 재산상 이득을 취했다고 인정한 바 있습니다.
✔️ 2. 대응 절차 및 준비할 증거
① 구입 내역 및 통신기록 (계좌이체 내역, 영수증, 문자/메신저 대화 등)② 구권 실물 및 표면에 표시된 유효기한 확인 자료③ 판매자가 유효기한 경과 사실을 알았거나 은폐한 정황 입증 자료④ 위 사항을 객관적으로 수집 후, 가까운 경찰서 또는 관할 검찰청에사기죄로 고소장을 제출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고소장에는 구체적 거래일시, 장소, 당사자 성명, 명확한 손해 사실을 포함해야 합니다.)
✔️ 3. 반환 청구 및 피해 구제 방안
① 사기죄 형사 고소와 별도로, 민사상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해,구권 구매 대금을 반환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② 소송 진행 시 증거자료 일체를 첨부하여 상대방의 판매 행위가기만적이었음을 주장해야 합니다.③ 만약 상대방 소재가 불명확할 경우, 법원에 주소보정명령 신청도 가능합니다.
✔️ 4. 예상 결과 및 소송 진행시 유의사항
① 판매자의 고의성 입증, 구체적 손해액 산정,② 실제 사용 불가 확인,③ 판매 과정 전후의 대화자료 등이 구체적으로 정리되어야,처벌 및 피해 회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④ 피의자가 초범일 경우, 형사 사건에서 집행유예 등 경감될 소지는 있으나,민사상 피해 회복에는 직접 영향이 없습니다.
준비서류 | 구입내역 증빙 | 유효기간 확인 서류 |
증거자료 | 판매자와의 통신기록 | 실물 구권 |
법률절차 | 경찰서 고소장 접수 | 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 |
구체 주장 | 판매자의 고의성 입증 | 손해액 명시 |
유의사항 | 피해사실 구체화 | 판례 및 유관 법조항 참고 |
기대결과 | 형사처벌 가능성 | 대금 반환 가능성 |
✔️ 5. 핵심 요약 정리
✔️마무리하며...누군가의 부정한 이득 때문에 상심하셨을 질문자님께 깊은 위로와 연대의 마음을 전합니다.정의로운 결과를 위해, 꼼꼼한 자료 준비와 신속한 대응으로 권리를 꼭 보호받으시길 바랍니다.
법무법인 강현 대표 김선호 변호사
전화상담 1644-8945